•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형상신호 디자인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shape signal design of an auxiliary device for a floor-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pplying universal desig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12
12P 미리보기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형상신호 디자인 융합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9권 / 5호 / 205 ~ 216페이지
    · 저자명 : 양호승, 장은석

    초록

    본 연구는 색각이상으로 인한 교통약자들을 위한 보행신호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색각이상교통약자가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를 쉽게 분별하여 안전한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형상신호를 제시하는 것이다.
    최근 교통안전에 대한 장치로서 확산되고 있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는 횡단보행 시 인지 안전성이저하되는 어린이, 노약자, 시각장애인(저시력자, 약시) 과 같은 교통약자와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다(박순용, 한음, 2019). 그러나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는 녹색점등, 녹색점멸, 적색점등 3가지 방식의 색상신호를 표출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색각이상자와 같은 교통약자의 경우 신호 색에 대한 오인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보조장치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신호 색을 분별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신호를 인지할수 있는 형상신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행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모듈에서 표출할 수있는 형상신호를 디자인하여 온라인 설문과 현장 설문을 통해 보행자관점의 형상신호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의 형상신호 예시 중 보행신호로서선호하는 형상신호는 큰 삼각형 점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행금지신호로서 선호하는 형상신호는전체점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의 보행신호와 보행금지신호의 형상신호 차별화는 신호 색을 분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부가신호로서 효과적인 신호체계라는 것을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제안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정보전달 개선방안이 향후 보행자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study of walking signals for the traffic-weakened due to color blind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shape signal so that the traffic weak person with color vision deficiency can easily distinguish the pedestrian signal when crossing and help them to walk safely.
    The floor-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ssist device, which has recently been spreading as a device for traffic safety, is designed to ensure the safety of smart device users and the visually impaired, such as children, the elderly, include low visions & weak eyesight whose cognitive safety is reduced when crossing the road introduced (Soonyong Park, Haneum, 2019). However, the floor-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uxiliary device is a method that transmits signals by expressing three types of color signals: green light, green flash, and red light. It is not being able to fulfilled its role sufficientl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is problem, this paper tried to present a shape signal that can recognize a signal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color signals cannot be distinguished. For this purpose, designed deriving a shape signal that can be expressed in the current floor-type pedestrian traffic light auxiliary device module and conducted both online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 for determine shape signal preference of pedestrian's point of view.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destrian's point of view, the most preferred shape signal among the walking signal examples of the floor-type walking signal light auxiliary device was the large triangle lighting shape signal. Second, as the most preferred shape signal as a walking prohibition signal, the overall lighting shape signal showed the highes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iation of the shape signal of the walking signal and the shape signal of the walking prohibition signal of the floor-type walking traffic light auxiliary device is an effective signal system as an additional signal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color sign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improvement plan for transmit information of the floor-type pedestrian signal light auxiliary device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afety of pedestrian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