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法登의 「圓頓宗眼」 저술과 고려 유입 및 간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eopdeung’s Writing of Wondonjongan, its Introduction into Goryeo, and its Publicatio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12
37P 미리보기
法登의 「圓頓宗眼」 저술과 고려 유입 및 간행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100호 / 33 ~ 69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이 글은 법등(法登)의 「원돈종안」 저술, 고려 유입 및 간행에 관한 연구로 몇 가지 새로운 사실을 밝혔다.
    법등은 천태종의 제17조인 지례의 제14대 혜순의 문하이다. 자는 성도이고, 호가 일당이다. 법등이 「원돈종안」을 저술한 시기는 남송 광종 소희 5년(1194) 무렵으로 추정된다. 법등은 「원돈종안」의 구성을 종원, 원심, 구성, 명도, 궁편, 담구, 소전, 삼관, 정종, 수성으로 체계화하였다. 끝에는 「의중흥교관」을 추가하여 실었다.
    법등은 종원에서, 불교 전법의 일화, 전법의 요점, 불교의 법맥 및 불교 전법의 중요성에 대해 밝혔다. 원심에서 담연이 제기한 성과 심의 의미, 정연[진심]과 염연[망념]의 의미 및 지례의 찰나일념에 대해 다루었다. 구성에서 불교의 성의 본질, 유교 학자들이 언급한 성의 의미, 천태종에서 언급하는 성의 의미를 밝혔다. 명도에서 도의 체용과 성․도․교의 의미, 유교의 도, 불교의 도, 및 유․불교 도의 차이에 대해 밝혔다. 궁편에 있어서 담연이 언급한 무정불성론 즉 정인불성을 밝히고, 중생의 번뇌심과 붓다의 깨달음이 서로 다르지 않음에 대해 밝혔다. 담구에서 담연의 심구삼천과 지례의 색구삼천의 의미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었다. 소전에서 천태종 산가파에 전해진 종원에 대해 법의 개요인 삼관, 불지견, 삼제, 묘해묘행에 대해 밝히고, 선종의 ‘직지인심 견성성불’은 천태종 산가파의 묘해묘행과는 다르다고 주장하였으며, 담연이 「지관의례」에서 적시한 천태종 산가파에 전해진 종원의 의미를 확실하게 밝혔다. 삼관에서 삼관의 의미, 삼관의 유래, 삼관의 계보 및 일심삼지․일심삼관의 의미에 대해 밝혔다. 정종에서 지례가 주장한 ‘찰나일념이 사리해행의 요점’이라는 것이 산가파의 정종임을 밝히고, 지례의 주장과 산외파의 이견에 대해 정리하였다. 수성에서 담연이 「지관의례」에서 정의한 수성의 의미와 「십불이문」에서 언급한 수성불이문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끝의 「의중흥교관」에서 지례를 산가파의 중흥자로 보는 이유를 밝히고, 산가파의 핵심이론인 별리수연설에 대해 밝혔으며, 별리수연의 설이 산가파의 중흥이라는 의혹에 대해 산가파와 산외파의 차이를 분명히 정리하였다.
    「원돈종안」의 고려 유입은 남송 광종 소희 5년(1194) 이후로 추정된다. 지현 비구가 고려 고종 11년(1224)에 송의 명주에서 수집하여 가져온 것이다. 지현은 일연 스님의 「보각국존비음기」에 의거하면 그의 문도이다. 또한 그는 고종 11년(1224) 겨울 10월 중에 명주 경원부에서 경운과 함께 일본 조동종의 개조 도원 스님과 만났던 것으로 확인된다. 지현은 고종 30년(1243) 분사도감판 판각에 관여하였다. 이 책은 고종 37년(1250)에 간행되었다. 선사 양공이 초본을 자적에게 보내서 목판에 새겨 유행하도록 부탁하였다. 이에 자적이 전사하여 고쳐 쓰고 교정하여 소자로 목판에 새겨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의 서지적 특징을 보면, 1책 18장본이다. 장정은 개장되었다. 표제는 개장하면서 ‘圓頓宗眼’이라 묵서하였다. 권수제와 차례가 없다. 판심제는 약서명인 ‘宗眼’을 표시하였다. 판본의 형식은 ‘사주단변, 반곽 16.7 × 11.8 cm, 무계, 반엽 10행 20〜21자, 상흑어미 ; 24.5 × 15.3 cm’이다. 종이는 현미경 섬유분석 결과 붉은 섬유와 주변에 푸른 껍질이 확인되어 닥섬유로 판명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eals several new facts through research on Beopdeung’s writing of Wondonjongan, its introduction into Goryeo, and its publication.
    Beopdeung is a disciple of the 14th Hyesun of Jirye, the 17th head of the Cheontae Order. His Ja(字) is Seongdo and his pen name is Ildang. It is estimated that Beopdeung wrote Wondonjongan around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94). Beopdeung systematized the composition of Wondonjongan into Jongwon, Wonsim, Gusong, Myeongdo, Gungpyeon, Damgu, Sojeon, Samgwan, Jeongjong, and Suseong. He added Uuijungheunggyogwan at the end.
    In Jongwon, Beopdeung revealed anecdotes of Buddhist teachings, the main points of Buddhist teachings, the lineage of Buddhism, and the importance of Buddhist teachings. In Wonsim, it dealt with the meaning of Seong(性) and Sim(心) raised by Damyeon, the meaning of Jeongyeon [sincerity] and Yeomyeon [delusion], and Jirye’s fleeting thought. In Gusong, the essence of Buddhism’s nature, the meaning of nature mentioned by Confucian scholars, and the meaning of nature mentioned in Cheontae sect were revealed. In Myeongdo, the use of Do(道), the meaning of Seong, Do, and Gyo(敎), the Do of Buddhism, the Do of Confucianis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o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revealed. In Gungpyeon, it clarifies the theory of Mujeongbulseong mentioned by Damyeon, that is, the Buddha’s Jeonginbulseong, and reveals that the agony of sentient beings and the Buddha’s enlightenment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amgu, the meaning of Damyeon’s Simgusamcheon and Jirye’s Saekgusamcheon were discussed in detail. In Sojeon, about the sect that was passed down to the Sangapa of Cheontae sect it reveals the outline of the law, which is the Samgwan, Buljigyeon, Samje, and Myohaemyohaeng, and argued that Zen Buddhism’s ‘Jikjiinsim, gyeonseongseongbul’ is different from the Myohaemyohaeng of the Sangapa of Cheontae sect, and Damyeon clearly revealed the meaning of the sect that was passed down to the Sangapa of Cheontae sect as indicated in Jigwanuilye. In Samgwan, the meaning of Samgwan, the origin of Samgwan, the genealogy of Samgwan, and the meaning of Ilsimsamji and Ilsimsamgwan were revealed. In Jeongjong, It was revealed that Jirye’s claim that the fleeting thought is the key to practicing Sarihaenghaeng is the original sect of the Sangapa, and the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Jirye’s claim and the Sanoepa were summarized. In Suseong, Damyeon explained in detail the meaning of Suseong defined in Jigwanuilye and the meaning of Suseongbulimun mentioned in Sipbulimun. In Uijungheunggyogwan at the end, the reason why Jirye is viewed as a restorer of the Sangapa, and the core theory of the Sangapa, Byeollisuyeon’s theory were revealed. In response to the suspicion that Byeollisuyeon’s theory was the revival of the Sangapa,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ngapa and the Sanoepa was clearly defined.
    The introduction of Wondonjongan into Goryeo is estimated to have occurred after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94). It was collected and brought by Monk Jihyeon from Myeongju in Song in the 11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1224). According to Monk Ilyeon’s Bogakgukjonbieumgi, Jihyeon is his disciple.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he met with Monk Dowon, the founder of the Japanese Jodong sect, along with Gyeongwoon at Gyeongwonbu, Myeongju, in the winter of October, the 11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1224). Jihyeon was involved in the engraving of the Bunsadogampan in the 30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1243).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e 37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1250). Master Yang Gong sent a copy of the manuscript to Jajeog and asked him to engrave it on a wooden block and make it popular. Accordingly, the author transcribed it, rewrote it, proofread it, and published it by engraving it on a wooden block.
    Looking at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it is one book with 18 chapters. The binding was later changed. The title ‘圓頓宗眼’ was written in ink on the cover when the binding was changed. There is no volume title or table of contents. Pansimje’s brief title was ‘宗眼’. The format of the edition is ‘sajudanbyeon, bangwag 16.7 × 11.8 cm, mugye, banyeob 10haeng 20〜21ja, sangheugeomi ; 24.5 × 15.3 cm.’ As a result of microscopic fiber analysis, the paper was confirmed to be mulberry fiber as red fibers and blue skin around them were con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