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수요목기 검정 중등공민 교과서의 편찬과 성격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Textbook of the Authorized Secondary School during Syllabus Period)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6
46P 미리보기
교수요목기 검정 중등공민 교과서의 편찬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3호 / 261 ~ 306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선

    초록

    미군정의 교수요목은 미국 콜로라도주 교수요목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긍정하고, 제한적이나마 개인의 삶과 권리를 인정하는 개인주의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정부수립 초기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공산주의나 소련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도 공민교과서에 반영되지 않았다. 한편, 이들 검정공민교과서를 집필한 저자들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제국대학을 졸업하거나, 일본유학을 경험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고려대학교나 서울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개인적인 친소 관계로 저자로 섭외되었다. 출판사 사장들 중에는 보성전문이나 중앙학교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집필자 중 고려대 교수와 졸업자가 많았던 것은 이런 까닭이었을 것이다. 이들은 국가주의적인 공민관을 지녔으며, 개인보다는 국가가 먼저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1948년 8월 安浩相이 문교부장관 취임하였다. 안호상은 독일 예나 대학과 교토제국대학에서 공부한 인물로 일민주의를 주창한 인물이다. 일민주의는 공산주의를 비롯한 모든 외래사상을 배격하고, 국가제일주의를 내세우는 이념이었다. 1949년 9월 정부는 중등교과서에서 국가이념에 배치되는 내용을 삭제하기로 하였다. 1949년 이전과 이후에 공민교과서 저자들은 거의 바뀌지 않았다. 이들이 교체되지 않은 것은 이들의 공민관이 정부의 그것과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민교과서에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던 반공주의적 내용이 1949년 9월 이후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일민주의와 반공이 강조되면서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국가주의가 강화되고, 공산주의와 북한, 소련을 비판하는 내용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런 경향은 6.25를 거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반공주의와 국가주의가가 결합된 소단락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소단락을 가진 공민교과서는 주로 제국대학을 졸업한 저자들에 의해 집필된 것이었다. 이후, 미군정이 남긴 교수요목의 영향력이 줄고, 당시 한국 지식인의 공민관이 더욱 강하게 반영되기 시작했다.

    영어초록

    The Syllabus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syllabus of Colorado State, and therefore positively affirmed both democracy and capitalism, while also to a certain extent reflecting an acceptance of an individualism which recognized the life and rights of the individual. These aspects were maintained even into the first years of the South Korean state. Moreover, negative representations of communism and the Soviet Union are also not reflected in public school textbooks. The authors who wrote these public school textbooks were people who either graduated from international schools under Japanese colonialism, or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They were employed at Korea University 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y were commissioned for this work mainly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Many of the owners of the publishing houses were affiliated with Posung College or Chung-ang High Schoo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any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at or graduates of Korea University. They had a nationalistic outlook on civic affairs, and often saw the nation as having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In August of 1948, Ho-sang An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o-sang An had studied both at Jena University and Kyoto University, and was an advocate of the One-People Principle. The One-People Principle was an ideology which rejected any type of outside mode of thought, including communism, and argued for the supremacy of the South Korean nation. In September of 1949, the government decided to remove content in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nt against the national ideology. The authors who wrote public school textbooks hardly changed from before and after 1949. Moreover, anti-communist content, which had not appeared in textbooks before, began appearing in textbooks after September 1949. In this way, as the One-People Principle and anti-communism were emphasized, public school textbooks began featuring content to strengthen nationalism, as well as criticisms of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and communism.
    This tendency became more pronounced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 short paragraph combining anti-communism and nationalism began to appear. This short paragraph, which appeared in public school textbooks, was written by authors who had graduated from international schools. Afterwards,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left by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creased and the opinions of intellectuals regarding civic life began to be more strongly refl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