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중요토지등조사법’의 내용 및 법적 검토 (Contents and Legal Review of Japan's ‘Important Land, etc. Investigation Ac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09
26P 미리보기
일본의 ‘중요토지등조사법’의 내용 및 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4권 / 3호 / 63 ~ 88페이지
    · 저자명 : 황헌순

    초록

    국제화가 진전됨에 따라 자국에 국한되지 않고, 외국에 소재하는 토지를 소유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제주도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언론보도를 접할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유사한 사회적 논의가 있었다. 외국인에 의한 토지소유는 미시적으로는 개인 간의 토지거래에 해당하겠지만, 그 면적이 광범위하게 넓어지면, 거시적으로는 국가의 안전보장 등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외국인의 토지소유를 단순히 개인의 사적자치 영역에 맡겨둘 수만은 없다고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의 토지취득에 대해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일정 부분에 대해 허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외국환 및 외국무역법(外国為替及び外国貿易法)」을 통하여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더해 일본에서는 2021년에 「중요시설주변 및 국경이도 등에 있어서 토지 등의 이용상황 조사 및 이용의 규제 등에 관한 법률(重要施設周辺及び国境離島等における土地等の利用状況の調査及び利用の規制等に関する法律)」(이하 ‘중요토지등조사법’이라 한다)을 제정했다.
    국가의 안전보장을 둘러싼 국제정세가 엄정해지고 있는 가운데, 위 법을 통하여 주시구역 및 특별주시구역과 같은 구역을 지정하고, 국민생활의 기반, 일본의 영역주권 등이 침해되는 사태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토지등이용상황조사등의 조치를 적절히 실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각 규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법적안정성 혹은 용어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아 명확성에 반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조항들도 있다. 이는 향후에도 일본이 관련 규정에 어떠한 내용들을 규정하는지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일본의 이러한 입법은 우리나라와 일본, 일본과 중국, 일본과 러시아의 국경분쟁이나 해양 분쟁에 대비한 법률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우리나라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국경지역의 낙도 등에 대해서는 일본과 같은 입법이 필요하다면 이에 대처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로부터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상 외국인에 대한 허가대상으로서 현행법상 규정되어 있는 토지 뿐만 아니라, 건축물도 포함하는 방향으로의 법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같은 법 시행령 제6조에서의 섬 지역에 대한 근거법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우리나라도 외국인의 자유로운 거래도 보장하는 동시에 국가의 안전보장도 도모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internationalization progresses, the number of foreign land ownership is increasing. In Korea, media reports related to this can be encountered, especially on Jeju Island. There have been similar social discussion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Land ownership by foreigners will correspond to land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microscopically, but if the area is broadly expanded, it is also macroscopically linked to national security. In this respect, it would be said that foreign ownership of land cannot be simply left to the private autonomy of individuals.
    In Korea, a permit system is operated for some parts through the Real Estate Transaction Reporting Act. In Japan, a similar system is operated through the Foreign Exchange and Foreign Trade Management Act. Nevertheless, in 2021, Japan enacted the "Act on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Use of Land, etc. and Regulation of Use, etc. in the Peripheral of Important Facilities and Border Roads" (abbreviated as the Important Land, etc. Investigation Act).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surrounding security guarantees becoming strict through this law, the government intends to designate areas such as the maintenance of people's lives and the special maintenance area to properly implement measures such as land use survey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fringement of the foundation of people's lives and Japan's territorial sovereignty. However, if you look at each regulation in detail, there are still some provisions that are concerned that it may go against clarity because the legal stability or the meaning of the term is not clear. It will be necessary to see what Japan stipulates in the relevant regula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aw from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Japan to include buildings as well as land prescribed by the current law as a subject of permission for foreigners under the Act on Report on Real Estate Transac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specify the ground law for island areas in Article 6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Through this, Korea should also prepare a system that can guarantee free transactions of foreigners and promote national secu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