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건축물의 조명등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ghting fixtures for Traditional Building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6
17P 미리보기
전통 건축물의 조명등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23권 / 2호 / 165 ~ 181페이지
    · 저자명 : 공상희, 고보형

    초록

    조명등은 일상에 꼭 필요한 생활 용구로 어둠을 밝히는 기능과 함께 공예품의 한 종류로 당대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반영한다. 특히 우리의 전통 등은 동·식물의 기름을 매제로 빛을 밝히던 등잔과 초를 꽂아 사용하던 촛대, 야간 이동 시 밤길을 밝히던 제등과 조족등 등 그 쓰임과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근대기 석유와 가스, 전기 등 새로운 연료가 전래됨에 따라 전통 등의 기능은 다소 축소되었고,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주거형태와 생활양식이 변화하면서 전통 등은 전기를 사용하는 서양식 직·간접 조명으로 대체되었다. 본 연구는 추후 전통 건축물의 공간 특성을 고려한 조명 디자인 제안 및 실물 제작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우리나라의 전통 등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왕실 건축과 민가 건축의 조명등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Lighting lamps are a daily necessity indispensable for daily life, and the function to brighten the dark and the features of the appearance coexist.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 lighting lamps reflect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the time as a kind of craft. In particular, our traditional lamps have been developed diversely in their use and forms such as oil lamps, which emitted light using animal or vegetable oils as media, candlesticks that were used with a candle put on them, and paper lanterns and footlights that were brightening night roads during  nighttime movements. As new fuels such as oil, gas, and electricity were introduced in the modern times, the functions of traditional lamps were somewhat reduced, and as housing types and lifestyles chang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imes, the traditional lamps were replaced by Western-style direct and indirect lightings using electricity.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propose lighting designs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uildings and to proceed with the actual production later, and is intended to generally examine the flow of Korean traditional lamps, and review the cases of use of lighting lamps in royal architecture and civil archite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디자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