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도 쇼에키(安藤昌益)의 불교비판의 문제 (The Issue's an Ando Shoeki's Criticism of Budd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3
29P 미리보기
안도 쇼에키(安藤昌益)의 불교비판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5호 / 285 ~ 313페이지
    · 저자명 : 박문현

    초록

    이 논문은 안도 쇼에키(安藤昌益, 1703-1762)가 불교를 비판한 것에 대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안도 쇼에키는 일본 에도시대의 반봉건적이고 독창적인 사상가이다. 그는 청년기에 불교를 공부하고 크게 깨달은 후 돌연 불문을 뛰쳐나왔다. 그는 불교를 비판하고 의사로서 농민운동을 전개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쇼에키는 석가가 부모와 처자를 버리고 출가한 것은 살생을 저지른 죄인이라고 한다. 그리고 일은 하지 않고 신도들에게서 음식을 얻어먹고 사는 것은 도둑과 같다고 규탄한다. 그는 불교의 신자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을 가장 먼저 어긴 사람이 석가라고 억지를 부린다. 쇼에키의 불교비판은 독특하다. 그는 독신주의와 출가주의 및 금욕주의를 비판하는가 하면 자비의 위선을 말한다. 그리고 불교는 지옥과 극락이란 거짓된 것을 조작하여 민중들을 속이고 욕망의 구렁텅이로 몰아넣는다고 규탄하는가 하면 오행(五行)사상으로 불교의 경전이나 용어들을 비판한다. 쇼에키는 그의 비판사상을 「법세이야기」라는 동물우화로 꾸며내기도 한다. 여기서 그는 승려들의 타락상을 폭로하고 이들이 동물보다 못함을 풍자한다. 쇼에키가 불교를 비판하는 기준은 그의 기일원론(氣一元論) 자연관과 만인평등의 인간관에 있다. 자연은 스스로 운동하는 것이기에 인간 역시 생산노동을 그 본질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쇼에키의 불교 비판은 그의 유물론적 종교관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비판의 객관성을 잃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nalysis and a criticism aboout Ando Shoeki’s(1703-1762) thoughts on Buddism. He is an ingenious and anti-feudal philosopher of Edo period of Japan. When he was young, he went into a Buddhist temple to study Buddism. But after his enlightenment, he came out of the temple. He criticised the Buddism and left many works as a doctor who had been leading a farmer’s movement.
    Ando Shoeki called Confucius, Buddha, and many other Confucius scholars, “the Sinners.” He calls Buddha a murderer, for Buddha leaving his wife and family only to enlighten himself. Moreover, he calls Buddha a thief, for not working and asking for foods. He also said, the very first person who broke the five buddhist law is Buddha himself. Likewise, Ando Shoeki’s criticism is very unique. He also calls Shotoku Taiji a sinner, for bring the Buddism into Japan and making Japan into a chaotic state. Ando Shoeki talks about hypocrisy of mercy, and criticise the celibate. He believes that the Buddhism manipulates the idea of the heaven and the hell, in order to fool the people. He criticise the Buddhist terms and books with using the five elements.
    Ando Shoeki wrote a fable called “The Story of The World of Law.” It shows the corruption of the Buddhist monks, and reveals that the animals are better and the monks. He believes that an ideal life is to practice “Right Cultivation” that people have to live on by the act of production. He blames the Buddhism for breaking the philosophy of “Right Cultivation.” Meanwhile, Ando Shoeki’s point of view is a bit suggestive, because he couldn’t maintain the objectivity and the ra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