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燈子傳」과 「博山火公行狀」 연구 (A Study of Deungjajeon and Baksanwhagonghaengjang - newly introduce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08.08
30P 미리보기
「燈子傳」과 「博山火公行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26호 / 61 ~ 90페이지
    · 저자명 : 유권석

    초록

    한문학에 기초한 문학의 전통은 조선후기를 정점으로 근대에도 꾸준히 이어져 왔으며, 가전 작품의 경우 그 동안 이가원 선생이 지은 「화왕전」이 최종의 작품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960년대에 김두연이 남긴 「등자전」 두 편과 「박산화공행장」이 발견됨으로써 이에 대한 재론의 여지가 남게 되었다. 물론 김두연이 가전을 창작한 시점은 이미 가전이 문학으로서의 효용적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는 시기는 아니었다. 하지만 법고창신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가전에 행장의 형식을 도입하여 변화를 꾀한 매우 특이한 경우라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가전은 고려 말에 나타난 「국순전」을 시작으로 꽤 많은 작품들이 존재해 왔지만 일찍이 등잔불과 화로를 소재로 삼았던 적은 없었다. 「등자전」은 등잔불을 의인화한 것이며 「박산화공행장」은 화로를 의인화한 것인데, 미재 김두연은 자신의 삶에 드리워졌던 답답한 상황을 두 편의 가전에 잘 투영시켜 놓았다.
    「등자전」 두 편과 「박산화공행장」을 전통적인 가전의 유형에 대입해 보면 「등자전」1과 「등자전」2는 서두에서 약간 차이가 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서두-사적-평결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박산화공행장」의 경우는 가전의 최대 형식으로 제시된 서두-선계-사적-후손-종말-평결에 해당하는 사항들이 갖추어져 있으면서도 내용의 전개는 행장에서 추구하는 자못 긴 선계와 사후의 일에 많은 부분들을 할애해 놓았다.
    한편 등불과 화로를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불과 연관된 典故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十干과 十二支는 물론 『삼국지』와 『사서삼경』, 고대 중국의 역사서의 내용들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등불과 화로는 실생활에서 사용하던 물건이었기 때문에 실제의 쓰임을 작품에 그대로 제시한 것도 특징적인데, 주제를 통해 등잔불과 화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높이 평가하여 예찬과 감사의 마음을 담아내고 있다. 가전의 이러한 표현 방식은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three Gajeon literary works, Deungjajeon 1, Deungjajeon 2, and Baksanwhagonghaengjang written by Meejae Kim Dooyoun in 19 century, are newly and firstly discovered and introduced in Korea, with examining the author’s life and his authorship, the analysis of the content inside and the narrative structure. He anthropomorphized a lantern in Deungjajeon and a brazier in Baksanwhagonghaengjang. There has been many Gajeon literature since the late Goryeo age such as Gooksoonjeon, however, never been Gajeon literature personifying a brazier or a lantern. Besides, “Haengjang” has never been used before as a title on the Gajeon Literature history. In those regards, both of Deungjajeon 1 and 2, and Baksanwhagonghaengjang a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Gajeon literatur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orm of other Gajeon, Deungjajeon 1 and 2, have a general form of “Beginning - Vestige- Concluding”, with a little difference in the part of Vestige. Baksanwhagonghaengjang consists of the longest structure of Gajeon literary works as Beginning - Pre-clue - Vestige - Ending - Post-clue - Concluding, which successfully expresses his logical and creative ideas. Due to his using a lantern or a brazier as a subject material, naturally a variety of traditional expressions about fire were cited much, in addition, not only the ten celestial signs and the twelve horary signs, but also San Guo Zhi, The Seven Chinese Classics and other ancient Chinese books were mentioned a lot too. A lantern and a brazier were implements used in Korean real life even in 19 century, in Meejae’s three works their service to people was so well depicted in detail and their supporting interaction to each other was so highly valued that the author tried to describe his gratitude and praise to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