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等同”的詞性論 (A Study on the Classificaition of the Term “Dengt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5.12
18P 미리보기
“等同”的詞性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61호 / 383 ~ 400페이지
    · 저자명 : 김종찬

    초록

    <국문제요> “等同”은 《現代漢語詞典》에서 동사로 보고 있다. 그런데 주의깊게 살펴보면 “等同”은 동사 이외에도 형용사로 쓰임을 알 수 있다.
    우선 “等同”의 “等”과 “同”은 형용사성 어소이며 병렬식으로 하나의 단어를 이룬다. 형용사성 어소가 병렬식으로 이루어진 단어는 역시 형용사를 이루는 것이다. 예를 들어 “這兩件事物的性質並不等同”에서 “等同”은 동사가 아닌 형용사인 것이다. 《現代漢語詞典》은 “等同”의 형용사 용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단지 동사용법만 언급했는데 이는 전면적이지 않다.
    “等同”은 동사로 쓰일 때는 타동사에 속하며 이 경우도 그 용법에 따라 다시 둘로 나눠진다. 예를 들어 “夫妻之間的相處絕對不能等同國與國之間的交往”에서 “等同”은 “跟~相等”의 뜻이고 “不能把這兩件事同等起來”에서 “等同”은 “當作同樣的事物看待”의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어는 하나의 품사이고, 하나의 뜻을 갖는다. 그러나 차츰 그 뜻이 증가되고 또 다른 품사도 생길 수 있게 된다. “同等”의 경우는 원래 형용사이었으나, 그 후 타동사로도 쓰이게 되었다고 본다. 이 경우 하나는 형용사 “同等”의 意動用法과 관계가 있고, 다른 하나는 “等同於” 즉 “형용사(等同)+개사(於)”에서 개사 “於”없이 “同等”이 단독으로 쓰임에 따라 “同等”이 타동사성을 djer 된 경우로 나뉜다. 이러한 관점에서 “等同”은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等同】 děngtóng 形 相等: 這兩件事物的性質並不~。但這種語義又不~於 對全人類來說是基本一致的邏輯意義。及物動詞 ①跟~相等: 當然漢字並不完全~漢語 言中的詞。②當作同樣的事物看待: 不能把這兩件事∼起來。」

    영어초록

    According to 《Xiandai Hanyu Cidian》, which is widely used in China, “Dengtong”is a verb. However, in my opinion, it is also an adjective.
    When we analyze this word “Dengtong”, it actually consists of two adjective morphemes: “Deng” and “Tong”. Therefore we can assume it can also be an adjective. For example, in the sentence “這兩件事物的性質並不等同”, “Dengtong”has an adjective function.
    《Xiandai Hanyu Cidian》mentions the verb usuage of “Dengtong”but not the adjective usage. Thus, in my opinion, the term “Dengtong” has a double classification of both verb and adjective.
    The transitive verb “Dengtong”has two different meanings. For example, in the sentence, “夫妻之間的相處絕對不能等同國與國之間的交往”,“Dengtong”means to “be the same as”. However, in the sentences, “不能把這兩件事等同起來”,“Dengtong”means to “equate”.
    Therefore, in my opinion, “Dengtong”should be rearranged as follows: 「【等同】 děngtóng 形 相等: 這兩件事物的性質並不~。但這種語義又不~於 對全人類來說是基本一致的邏輯意義。但不能與遝輯~。及物動詞 ①跟~相等: 夫妻之 間的相處絕對不能~國與國之間的交往。當然漢字並不完全~漢語言中的詞。②當作同 樣的事物看待: 不能把這兩件事∼起來。」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