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토 마쓰오(加藤増雄)의 주한일본 영사․공사 활동과 한국 통치론 (The Activities of Kato Matsuo(加藤増雄) as Japanese Consular and Minister to Korea and His Korea Ruling Theor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09
41P 미리보기
가토 마쓰오(加藤増雄)의 주한일본 영사․공사 활동과 한국 통치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0호 / 15 ~ 55페이지
    · 저자명 : 최보영

    초록

    가토 마쓰오(加藤増雄)는 청일전쟁기 한국주재 영사로 첫발을 내딛은 이래 자국민 보호와 무역 증진 및 한국 내 일본세력을 부식했다. 이후 공사로서는 자국의 경제적․외교적 이해에 철저히 복무했다. 공사 퇴직 후에는 연설과 기고를 통해 일제에 의한 한국의 식민지화 과정에 물질적․정신적으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가토는 부산영사로 파견되기 전 해외의 외교공관에 근무한 사실이 있으며 한국에 파견되기 전 이미 『日韓交涉略史』를 간행할 정도로 한국에 대한 이해가 높은 인물이었다. 가토는 2년간 부산에 주재하면서 개항장 시행규칙을 제정해 시행하고 개항장 밖으로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던 일본인 관리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그는 육군통신소 군인이나 부산항을 왕래하는 승선원 등으로부터 외부 정보를 입수하여 동학농민혁명군의 동태를 짐작하고 이들과 교전시 유리한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공사로 재임할 때에는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수세에 몰린 일본 세력을 만회하기 위해 고종의 환어를 위한 공작을 시도하였다. 또 영사 재임기 목포 개항의 경제성과 관련한 의견을 제시하고 공사 재임기 목포 및 군산 등 개항장의 조계장정을 직접 체결하여 개항장 내 일본의 영향력을 확고히 하는데 역할을 일정한 하였다.
    영사와 공사로 활동하면서 형성된 그의 한국인식은 자연스럽게 한국을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로 옮겨갔다. 그는 한국인을 대체로 열등하면서도 의구심마저 큰 인종으로 폄하하였다. 따라서 제도개혁이나 교육에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한국을 원활하게 통치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을 일본인에게 동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통감부의 적절한 인재등용과 통치를 요구하였다.
    이처럼 가토의 활동은 영사와 공사의 분업적이고 단절적인 업무 한계를 극복하고 목포개항과 같은 연속적인 사업을 이뤄냄으로써 한국에서 일본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아울러 한국민과 고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한 말과 행동으로 고종의 신뢰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의 한국인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After taking the first step as a consul in Korea during the Sin-Japanese War, Kato Matsuo protected his fellow countrymen, enhanced trades, and influenced Japanese power within Korea. After that, as the minister to Korea, he thoroughly served in the economic/diplomatic interests of his country. After retiring from the minister to Korea, he had materially and psychologically huge influences on the process of colonizing Korea by the Japanese Empire through address and contribution.
    Before being sent as a consul in Busan, Kato worked for an overseas diplomatic mission. He had the great understanding of Korea enough to publish 『A Brief History of Korea-Japan Negotiations』 even before being sent to Korea. While holding the diplomatic post in Busan for two years, Kato enacted/enforce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open port and also devoted himself to the management of Japanese people who were broadening their boundary outside of open port. For this, obtaining the external information from soldiers of army communication center or crewmen visiting Busan Port, he guessed the movement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mies and then suggested the opinions advantageous to the battles with them.
    When in office as the minister to Korea, he attempted the maneuver for the return of King Gojong, in order to regain the Japanese power on the defensive by King Gojong’s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Also, when in office as a consul in Korea, he played a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Japan’s influence in open port by suggesting his opinions related to the economic feasibility of opening Mokpo Port and also directly concluding the General Foreign Settlement of open port like Mokpo and Gunsan.
    His perception of Korea that was formed while working as a consul and minister in Korea, was naturally moved to rule over Korea. He denigrated most of the Korean people as an inferior race with huge doubt. Thus, he argu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produce the actual results of system reformation or education. Moreover, after feeling the necessity to assimilate Korean people into Japanese people to smoothly rule over Korea, he asked for the proper appointment of talented people and ruling of Residency-General.
    Like this, Kato’s activities became the basis for maximizing Japan’s profits in Korea by overcoming the divided and disconnected limitation of work as a consul and minister in Korea, and also accomplishing the continual project like opening of Mokpo Port. Furthermore, he not only obtained the trust from King Gojong with his words and actions based on his accurate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 and King Gojong, but also had huge influences on Japanese people’s percep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