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얼리 개념의 확장과 수렴을 통한 블러(Blur: 불명확하게 만듦)현상 연구 (A Study on the “Blur” Phenomenon through Expanding and Converging the Concepts of Jewelr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6
12P 미리보기
주얼리 개념의 확장과 수렴을 통한 블러(Blur: 불명확하게 만듦)현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2호 / 525 ~ 536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나건

    초록

    현대 사회에서의 주얼리는 보다 다양한 형태와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정형화된 개념으로는 신체 착장의 기능이 있는 재산 가치성이 있는 장식용 장신구이다. 그러나 주얼리는 감성적인 부분을 표출 하며 개인 내면의 정서나 미감을 표현 할 수 있는 개인적인성향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주얼리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기술적 제품들과 표현된 형태의 제품들이많다. 현대 사회는 인터넷 등 사회 문화적인 현상과흐름이 개방과 공유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고, 따라서인식에 대한 형태도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이다. 뿐만아니라 급속하게 발전하는 기술들은 어떻게 인간의삶에 밀접하게 다가 갈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인 흐름 아래 있는 주얼리에 대해서 논의 해보도록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우선, 일반적인 주얼리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현재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들 속에서 경계와 분류들이모호화 되어 가는 현상인 블러(Blur)현상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 해 볼 것이다. 다음으로 블러(Blur)현상에 대입할 수 있는 주얼리의 다양한 형태들을 사례연구로 논의 하면서 주얼리의 개념을 일반적인 개념에서 확대하고 수렴하고 분리, 재 확대하여 보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의 목적은 보다 유연한 사고를통한 주얼리의 개념을 만들어 갔으면 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의 범위는 주얼리의 어느 한 영역을 연구해 보기 보다는 현대의 주얼리의 예들을 살펴보면서주얼리의 일반적 개념에 한정하여 개념의 확장과 수렴을 통한 개념의 변화를 고찰 하도록 하겠다.
    연구에 대한 결과로서 첫째, 주얼리에서의 개념의확장에 대해서는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은블러의 개념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개념의 약하에 따른 다양한 해석 여지를 둘 수 있다는 이론을 패션, 얼굴장신구 및 장갑형태의 주얼리 등의 예들을 통해 설명하였고, 둘째, 주얼리로의 개념 수렴에 대해서는 블러(Blur)에 대한 타자성 개입에 따른 수렴 현상에 대해 기존의 개념이 불명확해지는 것으로 인하여 고착화 된 주얼리의 개념에 의문을 가지면서 웨어러블 기기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요소를 수용하여 스마트주얼리라는 주얼리의 새로운 개념으로 수렴 할 수 있다고 논의 하였다. 셋째, 주얼리로의 개념의 분리와재 확장에 대해서는 블러(Blur)에 대한 모호성에 관련된 이론으로 모호성을 통해 새로운 관계로 재조합하거나 재배열하여 기존의 질서를 무너뜨려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 하여 새로운 시장과 문화를 만들어 낼수 있는 것을 논의 하였다.

    영어초록

    In modern society, jewelry is understood in a broader sense and concept. In a standard, traditional concept, jewelry refers to wearable, decorative accessory with property values. In a broader sense, however, jewelry can reveal one’s emotions, express individual feelings and display the esthetics of a wearer.
    Reflecting such various characteristics, a host of jewelry products with technical feats and artistic values are being produced.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trend of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sharing and openness, and thanks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like the Internet, people’s way of thinking is also more open and flexible. Moreover, the rapid developments in technologies are making ways to get a closer access to human life every second. Accordingly, this paper will look into jewelry in the socio-cultural trend. For the methods of the study, this paper will study the general concept of jewelry and provid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blur” phenomenon where boundaries and classifications become blurred in society. Then, the study will investigate into different types of jewelry that can be applied to the “blur” phenomenon by looking into case studies, thereby expanding, converging, and re-expanding the concept of jewelry from a traditional concept to a wider concept.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forming a new concept of jewelry in a wider and broader sense through flexible thoughts. And the scope of the study will be not be confined to a specific area, rather, it will focus on the general concept of jewelry and the changes in the concept by looking into case studies about modern jewelry.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first, when it comes to expanding the concept of jewelry, Peter Eisenman explains, by taking examples of jewelry products in fashion, facial accessories, and gloves, that there would be various explanations on defining jewelry as the traditional concept becomes blurred due to the “blur” phenomenon; second, about converging the concepts regarding jewelry, the paper discusses the intervention of otherness on the “blur” phenomenon which blurs the traditional concept, raising questions over the fixed concept of jewelry. With the questions in mind, this study also discusses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becomes ambiguous in accepting new factors of change, and jewelry can be understood in a new concept of “smart jewelry”; and third, regarding the separation and re-expansion in the concept of jewelr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mbiguity of the “blur” phenomenon can dismantle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system, which gives way to create a new market and culture by recombining and rearranging the conce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