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9재에 참여한 유족들의애도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Mourning Experience of the Bereaved Family Participated in ‘Forty‒ninth Day Funeral Commemor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6
34P 미리보기
49재에 참여한 유족들의애도 경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9권 / 2호 / 237 ~ 270페이지
    · 저자명 : 임해영

    초록

    이 연구는 불교계의 대표적 애도 의례인 49재에 참여한 불교인 유족들의 애도 현상을 분석하여, 종교사회복지의 실천 영역 안에서 숙고될 수 있는 유용한 함의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49재에 참여한 불교인 유족들의 애도 경험은 어떤 의미로 나타나는 가’라는 연구 문제를 상정하고, 불교인 유족들이 49재의 과정 속에서 고인의 죽음에 대해 어떠한 심리적 기제를 경험하며,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사회문화적 맥락은 무엇이고, 이들의 애도 경험은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나타나고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스트라우스(Strauss)와 코빈(Corbin)이 제안한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0개의 개념, 32개의 하위 범주를 통해, 「급작스러운 이별」, 「예비된 죽음」, 「소용돌이 치는 심적 고통」, 「안쓰러운 존재」, 「위대한 사람」, 「빚진 감정」, 「망자의 정화」, 「당연한 도리」, 「소통의 장」, 「공동체의 지지」, 「심리적 위안」, 「의도적 분리 노력」, 「미완의 이별」, 「일상으로의 복귀」 등 14개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불교인 유족들의 애도 경험을 통합하는 핵심 범주는 ‘망자 상실에 따른 심적 고통이 던져주는 새로운 의미 찾아가기의 여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불교인 유족들의 애도 경험의 변화과정은 심리적 충격, 감정 표출, 소통 시도, 심리적 위안, 미완의 분리 5단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49재에 참여한 불교인 유족들의 애도 경험은 망자 정화와 유족 자신의 해원이라는 이중 의미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9재는 불교인의 애도 경험을 지지할 수 있는 좋은 의식적 장치이긴 하지만 그것 자체만으로 유족들의 애도를 충분하게 지지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9재는 유족들이 적절한 애도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오히려 애도를 억압해야 하는 현대사회에서 망자 상실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지지프로그램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시사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henomenon of the bereaved family who participated in the typical Buddhist mourning ritual, ‘forty‒ninth day funeral commemoratio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that may be useful and considered as appropriate funeral custom in the practice of religious aspect of social welfare in Korea. Firstly, I assumed the research question that the significance of mourning experience of the bereaved who participated in the ‘forty‒ninth day funeral commemoration’ appears. Then I proposed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that how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y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nfluence in terms of the socio‒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 And I researched how the mourning experience of the bereaved appears through what process of change. It was analyzed by utiliz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Through the analysis of 110 concepts, 32 sub‒categories, ‘sudden parting’, ‘death that are preliminary’, ‘swirling mental suffering’, ‘pathetic being’, ‘great man’, ‘emotional owed’, ‘dead person’s soul purification’, ‘reasonable duty’, ‘the field of communication’, ‘community support’, ‘psychological comfort’, ‘deliberate separation efforts’, ‘farewell unfinished’, and ‘return to the everyday life’ are 14 top categories. And a key category that integrates the experience of mourning the bereaved Buddhists was presented as psychic pain of this journey to visit the new meaning to the loss of the deceased. In addition, the five transformation process of grieving experiences of the bereaved appeared as a psychological shock, emotional expression, communication attempts, psychological comfort, separate stages unfinish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ual significances i.e. the purifying means for the dead and psychological comfort for the bereaved family through the condolences experience of Buddhist mourning ritual, ‘forty‒ninth day funeral commemoration.’ Although ‘forty‒ninth day funeral commemoration’ considered as a good conscious devices that can support a condolences experience of Buddhists, but was not enough to see that it fully supported the mourning of the bereaved. Nevertheless, in the modern society suppression tendency of condolences for the dead in stead of fully appropriate morning ritual, ‘forty‒ninth day funeral commemoration’ has the positive suggestion that it will be a socio‒psychological support application program to ease the shock for the loss of the d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