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외상태의 윤리-조선족 밀항을 재현하는 시선들- (Ethics in the State of exception -Perspectives to represent stowaway of Choseonjo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11
29P 미리보기
예외상태의 윤리-조선족 밀항을 재현하는 시선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7호 / 421 ~ 449페이지
    · 저자명 : 구재진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국으로 밀항하던 조선족들이 어창에서 질식, 사망한 실제 사건을 다룬 세 편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조선족 밀항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들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텍스트는 소설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2004), 희곡 <해무>(2007), 그리고 영화 <해무>(2014)이다.
    두 편의 <해무>에서는 법과 폭력의 경계에 놓여 있는 예외상태의 밀항선에서 조선족들이 질식하여 죽게 되고 이 시신을 한국인 선원들이 수장하는 사건이 벌어지는데 이로써 텍스트의 선상 공간은 일종의 윤리적 실험실과 같은 의미를 띤다. 두 편의 <해무>에서 나타나는 윤리의 양상은 주권자로서의 선장 또는 도덕적 포즈를 취하는 인물과 스스로 모든 죄를 떠안고 죽는 인물의 대조를 통해서 나타난다. 특히 자신의 죄에 대해 책임지고자 하는 대속자적인 인물의 모습에서 이 작품의 윤리적 지점이 발견된다. 반면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의 인물들은 책임의 윤리를 실현하기에는 너무 취약한 주체들로 그려지고 있다. 반복된 트라우마의 책임을 부모에게 돌리는 인물들의 모습은 한 편으로는 밀항 조선족의 근본적인 상처와 피해의식을 드러내는 것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에 다름 아니다.
    <나비의 집>과 희곡 및 영화 <해무>의 주인공들은 ‘준난민’ 혹은 ‘호모 사케르’로서 모두 ‘집’과 ‘가족’에 대한 갈망을 지니고 있다. 전통적으로 집-가족-고향과 대척점에 서 있는 ‘배’라는 환경에서 이들은 ‘배’ 자체를 집-공동체로 만들려는 시도를 하거나 ‘배’를 떠나 뭍에 안착하여 집-고향-국가의 품에 안기려는 열망을 품는다. 그러나 각 텍스트들에서 그러한 열망의 실현, 곧 구원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두 편의 <해무>와 <나비의 집>은 호모 사케르와 같은 이들에게 사랑 혹은 구원이란 현실 너머에 존재하는 (불)가능한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밀항선이라는 예외상태의 윤리와 그 귀결점이 지니는 의미를 구명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different views on Choseonjog(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stowaway by comparing the three texts which deal with Choseonjog people who suffocated to death in the fish warehouse during stowaway to Korea. Such texts are Haemu(2007), a play by Kim Min-Jung, Haemu(2014), a film directed by Sim Seong-bo, and Who saw the butterfly's house(2004), a novel written by a Korean-Chinese writer Hoe Ryeon-Sun.
    This paper is based on three major issues. First, Choseonjog stowaways who are focused in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and Korean sailors who are focused in two texts of Haemu, share the shape of ‘Homo Sacer,’ However, the shape of ‘Homo Sacer’ is represented differently in all three texts.
    Second, the stowaway ship is at a state of exception at the borderline between law and violence. The space of ship seems as an ethical experiment as it is surrounded by danger and death of Choseonjog people. The patterns of ethics that appear in the two texts of Haemu appear by comparing the captain as a sovereign, the person who takes a moral pose, and the person who perpetuates all sins and death on their own.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of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are depicted as subjects that are too weak to realize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rresponsible figures who blame their parents for their repeated trauma, reveal the fundamental injuries and victim’s mentality of Choseonjog people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only avoiding responsibility.
    Third, as the refugee or quasi-refugee,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Homo-Sacer, the main characters of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and the drama and the film Haemu all have a longing for home and family. While they are in ‘boat’, an environmental opposite of home and family, they try to make the 'boat' itself a home-community, or leave the boat and come safe to land, with the desire to be in the arms of the nation. But the realization of such aspiration, salvation, appears as impossible in each text.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ree texts and explains the ethics of the exceptional state in a stowaway boat and the implications of its consequ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