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극 <적벽가>들의 ‘이면’과 연출적 감수성 (A Study on Four Pieces of the Changgeuk Jeokbyeokga (Red Cliff) using Yi-myoun theory (裡面論) in the aspects of Sensibility of Directio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10
46P 미리보기
창극 &lt;적벽가&gt;들의 ‘이면’과 연출적 감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42호 / 149 ~ 194페이지
    · 저자명 : 김향

    초록

    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서 제작한 허규 연출 <적벽가>(1985), 김홍승 연출 <삼국지 적벽가>(2003), 이윤택 연출 <적벽>(2009) 그리고 이소영 연출 <적벽가>(2015)의 ‘이면’ 연구를 통해 ‘연출적 감수성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창극 무대화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여겨지던 판소리 <적벽가>를 무대화한 것이기에 어떠한 고유의 ‘연출적 감수성’을 생성했는지를 중심으로 논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판소리의 미학론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면론’을 창극 연출을 논하는데 원용하였다.
    네 편의 창극 <적벽가>들은 공통적으로 박봉술제 <적벽가>를 저본으로 한 것이지만, 사설·장단·조에 변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무대 형상화에서 큰 차이를 내보이고 있기에 2장에서는 창본들의 차이점을 논하고 3장에서 구체적인 무대 형상화를 통한 개별 작품들의 ‘이면’ 창출을 살폈으며 4장에서는 연출가들의 ‘예술적·시대의식’을 논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허규 연출은 1985년 처음으로 완판창극 형태로 <적벽가>를 연출하여 ‘남녀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고통’과 ‘간웅 조조 연기에서 희극적인 감수성’을 구현하고 TV와 라디오매체의 생중계를 통해 그 소통을 확장하려 노력하였다. 2003년 김홍승 연출은 <삼국지 적벽가>를 연출하여 ‘장쾌하고 대중적인 감수성’을 구현하였으며 2009년 이윤택 연출은 <적벽>을 연출하여 ‘서로 대립하는 영웅들의 의로운 감수성’을, 이소영 연출은 2015년 <적벽가>를 연출하여 ‘여성들을 비롯하여 전쟁을 일삼는 삼국의 백성들의 억울한 죽음과 원한’을 구현하였다.
    각 연출가들이 위와 같은 ‘연출적 감수성’을 발휘하여 대중화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점들을 해소하고 <적벽가>를 창극화한 것은 이 작품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uses Yi-myoun theory (裡面論)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yles of the Changgeuk Jeokbyeokgas, as directed by Hur Gyu (1985), Kim Hong-Seung (2003), Yi Yun-Taek (2009) and Yi So-young (2015). Pansori Jeokbyeokga have noticed that difficult repertory to direct into Changgeuk for a long time, so Changgeuk Jeokbyeokgas deserved academic attention. This article researched performances’ "sensibility of direction" based on Yi-myoun theory, which extends to Changgeuk from Pansori aesthetics. The four Changgeuk versions of Jeokbyeokga were all recreations of Park Bong-sul’s Jeokbyeokga, but varied in Sasul (辭說, script), Sangdan (長短) and Seongzo (聲調). So, at first, this paper discussed differences of Changgeuk Jeokbyeokgas’ scripts in the second chapter and realization of Yi-myoun researching stage embodiments of four performances in the third chapter, then extracted directors’ “sensibility of direction and consciousness.” Director Hur Gyu directed the first wanpan-changgeuk version of Jeokbyeokga (1985) and focused on the pain of human beings without distinction of sex and comic sensibility in the role of Cao Cao. He tried to enhance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live television and radio broadcasts. Kim Hong-seung’s version of Jeokbyeokga (2003) created an exciting and popular sensibility. Yi Yoon-taek directed Changgeuk Jeokbyeokga (2009) focusing on the righteous sensibility of antagonistic heroes. Finally, Yi So-young’s version (2015) presented the victimization, death, and resentment of the people under the warring Three States. These four directors each succeeded in popularizing the Changgeuk Jeokbyeokga using their own directorial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