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관 이미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내러티브 유형 연구 (Elementary Students' Narrative Types on Art Museum Imag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12
38P 미리보기
미술관 이미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내러티브 유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56호 / 53 ~ 9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안금희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5학년들의 미술관에 대한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미술관 이미지 그리고 관람 경험을 탐구하고, 그 이면의 의미를 해석해내어 앞으로의 미술관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기간은 2012년 10월- 2013년 11월까지이며,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5 학년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현장 노트와 심층 면접 녹음 자료, 연구 일지, 스크랩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녹음 자료 전사의 반복 해독과 코딩 작업을 통해 분석 및 해석하였다. 삼각검증법과 연구 일지, 지도 조언 등을 통해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5학년이 본 미술관의 이미지는 미술과 미술관을 긍정, 부정 중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크게 4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들이 가진 미술관 이미지는 미술관과 관련된 다른 경험으로 인해 긍정적으로 변화될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관의 이미지는 미술관 문화 향유 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대부분 고정관념으로 고착화되어 있지만 색다른미술관 경험으로 충분히 그 이미지가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directions to elementary art education by making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art museums of elementary 5th graders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is research has two stages over 1 year.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on the image of the art museums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12, The second stage of the study on the art museum image transformation by the experimental exhibition continued from December in 2012 to February in 2013. Ten students in 5th grad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produced.
    Firstly, images of the art museum by elementary 5th graders were categorized into 4 basic type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of the art and art museums.
    Secondly, images of the art museum by elementary 5th graders could be changed positively with other experiences related to an art museum.
    Accordingly, images of the art museum by elementary 5th grade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njoyment of the art museum. And they were stored as a stereotype like "Art museums display Western paintings drawn well". But they could be changed positively with other great experiences related to an art museum, which become different kinds of new images. Therefore, contents of the expanded identity of art museums from original features to complex cultural facility focused on communication should be added to the future art education. Also,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based on 4 types will be required for teachers so to help students enjoy the art and culture in their life for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