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사람들의 아리랑 전승 양상과 가능성 (The Possibility and transmission aspect of the Arirang by the Villager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2
25P 미리보기
마을사람들의 아리랑 전승 양상과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속연구 / 36호 / 361 ~ 385페이지
    · 저자명 : 최자운

    초록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초리 하푸실마을, 경북 상주시 계산동,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춘당 2리는 공통적으로 아리랑 관련 주민 조직을 만들어 마을 만들기사업의 일환으로 아리랑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 조건, 아리랑 모임 조직 목적, 지자체와의 관계 등에 따라 아리랑의 성격, 구연 방식, 마을 사람들과의 관계 등은 상이하다.
    먼저, 경북 문경시 하푸실마을은 민요 학습, 조직 결성, 그리고 마을축제 준비로 이어지는 과정이 특징적이다. 애초 문경문화원에 의해 교육이 주도되었기 때문에 전체 과정에서 주민들이 수동적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그럼에도 주민들은 배운 민요를 경제생활에 활용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하푸실마을 주민들이 대부분 토박이인데다, 과수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점이 축제 개최까지 이어지는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문경시에 의해 주도되는 아리랑사업에서의 고(故) 송영철 구연본에 대한 정전화(正典化) 경향, 주민들이 여섯 소절만 노래할 수 있는 것은 자칫, 소리의 박제화를 야기할 여지가 있다.
    2011년 상주아리랑축제가 기획될 당시 아리랑고개가 소재한 상주 계산동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아리랑고개 사람들>을 구성하고, 축제에 참여하였다. 그들은 꾸준한 연습을 통해 노래 실력을 키워 상주아리랑 외 지역 향토민요, 통속민요 아리랑 등을 공연하고 있다. 세 마을 중 구성원 나이 대가 가장 젊고 모임과 축제가 밀착되어 있어 무대 위에서 여러 가지 소리를 부를 수 있었다. 앞으로 원활한 활동 및 공연 참가를 위한 예산 확보는 남겨진 숙제이다.
    강원도 횡성군 춘당 2리는 마을에서 화전농사를 경험한 개인이 만든 화전아리랑과 춘당 2리 주민들로 구성된 춘당소리예술단이 마을만들기사업 진행을 위해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세 마을 중 구연자들과 그들이 부르는 아리랑 사이의 심리적 거리는 이 마을이 가장 가깝다. 개인 경험에 기반한 노래에 대한 공감력은 노인들이 예술단 활동을 지속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럼에도 마을 리더 간 갈등으로 인해 무대에서 화전아리랑을 부르지 못하는 것, 구성원들의 고령화로 인한 젊은층 확보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영어초록

    The Villagers who live in Hapusil village, Mungyung-si, Gyungbuk, Gyesan-dong, Sangju-si, Gyungbuk, Chundang 2ri, Hoengsung-gun, Gangwon-do composed of Arirang community organization in common. Villagers make the best use of Arirang as a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 It is differ from Village Condition, The aim of the Arirang meeting, Singing Method and The relationship of the local government unit.
    First, The feature of the Hapusil village, Mungyung-si, Gyungbuk are a Folk song Study, Organization form and preparation of the village Festival. At first Mungyung Culture Center take lead Arirang Education. Villagers is possible become passive to learn Arirang. But Villagers utilize Arirang to economic life. Hapusil villagers are native and engage in fruit tree agriculture. It should be careful sing six measures of a song, Becoming stiff of the Arirang in Arirang business lead by Mungyung-si.
    When planed Arirang Festival in Sangju 2011 Arirang hill peoples who live in Gyesandong Sangju participate spontaneously. They doing regular practice in singing. Members show Sangju Arirang, other regions Arirang and popular folk songs Arirang. They are the youngest among three villages. Because Meeting and Festival are tightly joined, They can sing various songs on the stage. It is important that Song Activity and performance participation. To secure business budget is remaining subjects.
    A native who experienced slash-and-burn farming write the lyrics for song Chundang 2ri, Hoengsung-gun, Gangwon-do. In order to accomplis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 Chundang Art company are made up Chundang 2ri villagers. Chundang Art company members most familiar with Arirang among three village. Subjective experience militate driving force of art company activity. There are conflict between head of a village and the president of a senior citizen. Members can not sing Hwajeon Arirang on the stage the present. Art company Members has an aging population. To keep alive members lay stress on recruit young peo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