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설퇴소 청년들의 자립지원교육에 대한 요구 (A Demand For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06
24P 미리보기
시설퇴소 청년들의 자립지원교육에 대한 요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복지연구 / 22권 / 2호 / 61 ~ 84페이지
    · 저자명 : 안희란, 이용교

    초록

    퇴소 청소년의 자립경험을 다룬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퇴소 전에 이루어진 자립지원교육이 퇴소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소 전 아동의 자립준비 실태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퇴소 후 자립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기에 자립지원교육의 부족한 점에 대한 식견이 생겼다고 볼 수 있는 ‘퇴소자’를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자립지원교육이 어떠한 부분에서 보완되어야 하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25명의 시설퇴소자들이다. 연구참여자들은 현행의 자립지원교육이 퇴소한 선배를 강사로 섭외하여 교육자의 외연을 확대하고, 퇴소 후에도 받을 수 있도록 시기가 연장되기를 바랐다. 또한 교육방식이 텍스트적으로만 진행되지 아니하고 시설생활에서 실천으로 연결되기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퇴소 후 겪을 혼자 있으면서, 스스로 번 돈으로 지출해야 하는 상황을 설정, 이에 적응하는 방식을 습득하도록 진행되기를 바랐다. 마지막으로 기존 자립지원교육 내용에는 빠져 있지만 퇴소 후 돈을 모을 수 있는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금융교육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법률 지식, 그리고 성인이 되면 하게 되는 생활양식이면서도 그 내용을 숙지하기 위해서는 어른들로부터의 가르침이 필요한 내용이 다루어지기를 요구하였다. 특히 법정대리인이나 임차보증금 관련 법률지식이 부족할 경우, 시설아동이나 퇴소청소년은 큰 액수의 재산을 잃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이 본 연구결과 드러났다. 이에 자립지원교육 내용에 ‘법정대리인 관련 교육’과 ‘임차보증금 관련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몸에 배도록 자립기술 습관들이기’ 를 위해서는 퇴소연령을 현행의 18세가 아닌 19세로 상향하여야 한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이 요구한 ‘퇴소 후와 같은 상황에서 3개월 정도 혼자 살아보는 훈련’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상담하면서 자립 정도를 확인하여야 하기에 지역 자립지원전담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about the independence experience of the youth who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show that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does not provide any practical help.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this study examined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in institutional care,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Youths who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were interviewed so as to find out what can be improved in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Since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dependently living, it is assumed that they would be well aware of the lack of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Participants were 25 youths who aged out of institutional care. Participants hoped that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would be provided after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and those who had aged out from institutional care would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upport education to extend the boundary of the educators. Besides, they demanded that support education should not be simply carried out through the text but be actually performed in institution care. They also wanted support education to provide them with rehearsing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expend from their own income after aging out of the institutional care. As a result of this, they hoped to learn how to adapt to being independent. Lastly, because the existing support education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do not cover contents related to finance, law, and lifestyle, the youth in institutional care asked to receive practical financial education that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how to save money after they move out of the institution, legal knowledge to protect their property, and adult lifestyle which needs to be taught by adults in order to be effectively acquainted. In particular,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youth in or aged out of institutional care could lose a large fortune if they have insufficient 1egal knowledge as for legal representatives or lease deposits. Therefore, support education should include ‘education about legal representatives’ and ‘education about lease deposits.’ Also, the maximum age for the youth to be in institutional care should be raised from 18 to 19, so the youth ‘can master independent living skills.’ As for the ‘training of living alone for 3 months in the same circumstance as after aging out of the institutional care,’ the administrator should check the level of independence by conducting regular visits and counselling them. Hence, a local support facility for the independence of the youth aging out of institutional care should be establis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