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지식인들의 淸代 滿洲語 수용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Intellectuals’ Acceptance of Machu Languag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12
60P 미리보기
조선 지식인들의 淸代 滿洲語 수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0호 / 381 ~ 440페이지
    · 저자명 : 김양진, 신상현

    초록

    이 논문은 청대 만주어가 어떠한 양상으로 조선에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에서의 滿洲語(淸語) 수용 과정과 그 실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실상이 조선 지식인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자기화 하여 받아들여졌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선의 만주어에 대한 초기의 인식은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을 겪으면서 만주족과의 교류를 통하여 시작되었다. 당시에 만주족은 기존의 여진문자를 버리고 새로 도입한 有圈點 만주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이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점차 만주어 이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司譯院을 중심으로 교육 체제를 갖추고, 만주어 구사자를 확산시켜 나갔다. 그리고 만주어 확산을 위해 만주어 학습서를 편찬하여 간행하게 되는데, 이를 주도한 사람은 申繼黯이었으며, 그가 편찬한 만주어 학습서는 그 뒤에 개정을 거듭하여 『八歲兒』․『小兒論』․『三譯總解』․『淸語老乞大』로 이루어진 <淸學四書>로도 불리는 『淸語總解』(1703)로 발전하게 되며, 조선말까지 만주어 학습서의 근간을 이룬다.
    한편 청나라는 만주어의 문화어 격상과 보급을 위해 『御製淸文鑑』이라고 불리우는 백과사전식 만주어 사전인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HMB, 1708)를 간행하게 되고, 乾隆 36년(1771)에 이르러서는 증보판인 『御製增訂淸文鑑』이 편찬된다. 조선에서는 淸學檢察官 金振夏 등이 『어제증정청문감』을 저본으로 한문과 한글로 뜻을 달고 한글로 만주어 발음을 표기하여 『漢淸文鑑』(1779)을 간행하게 된다. 이후로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만주어에 대한 표준은 『한청문감』을 통해 제시되었다. 그리고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이렇게 편찬된 『한청문감』을 통하여 청나라의 지식체계를 수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만주어로 기록된 백과사전식 지식체계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 대표적인 학자로 星湖 李瀷을 비롯하여 靑莊館 李德懋, 茶山 丁若鏞, 李圭景 등이다. 이들은 『한청문감』과 『어제증정청문감』의 만주어 지식 내용을 인용하여 새로운 만주어휘를 비롯하여 物名, 人名, 度量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증 작업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병자호란 이후의 조선은 내적 논리는 명나라에 대한 명분론이 앞섰으나, 그 실제에 있어서는 청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의 문화적 재편에 빠르게 흡수되어 갔음을 청대 만주어의 수용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사역원을 중심으로 한 만주어 通事 및 만주어 구사자 양성, 만주어 학습서인 『청어총해』(1703)와 『한청문감』(1779)의 간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HMB(1708)와 『어제증정청문감』(1771)의 출간과 맞물리면서 청나라의 만주어 규범화 정책 및 확산 정책이 조선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잘 말해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 on Aspect of Acceptance of Machu Languag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First for this purpose, understoo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s about the Machu Language of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Next, investigated how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accepted these facts as a viewpoint of themselves.
    First stage’s recognition about Manchu Language began to interact with the Manchu People after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1627(丁卯胡亂) and the 2nd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At that time, Manchu People using new script that was convert the Mongolian alphabet to make it suitable for the Manchu people by Dahai(達海), known as “tongki fuka sindaha hergen”(有圈點 滿洲文字, script with dots and circles). Nevertheless,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did not understand almost the new script. But the necessity of the understanding about Machu Language is risen gradually, so trained who can speak Machu Language having an education setup Sayeokwon(司譯院) centered. And published textbooks for the spread of Machu Language by Shin Kye-Am(申繼黯), it was revised the Chengeo Chonghae(淸語總解), so called Chenghak Saseo(淸學四書).
    Meanwhile, Knagxi(康熙) issued a royal command to compile Manchu Language dictionary of Yuzhi Qingwenjian(御製淸文鑑,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at 1708, it was revised Yuzhi Zengding Qingwenjian(御製增訂淸文鑑) by Qianlong(乾隆) at 1771. In Joseon, based on Yuzhi Zengding Qingwenjian, compiled Hancheng Mungam(漢淸文鑑) at 1779, since it provided the standard of Manchu Language and Knowledge to Joseon intellectuals. Besides, Manchu Language and Knowledge which is accepted to such aspect, they begin to use for knowledge system setup, and to research philologically and linguistically in a variety of areas. Fore example, Yi Ik(李瀷), Yi Deuk-Moo(李德懋), Jeong Yak-Yong(丁若鏞), Yi Kyu-Gyong(李圭景), and so on.
    As such facts, we can understand through acceptance process of Language and Knowledge that after the 2nd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Joseon Society and Joseon intellectuals be culturally assimilated the Qing Dynasty. It is based on training of Machu Language speaker having an education setup Sayeokwon centered and publishing of Chengeo Chonghae(淸語總解), Hancheng Mungam(漢淸文鑑).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