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격화되지 않는 영상들의 극장술 (Theatre-technique of Unstandardized Moving Imag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2.10
27P 미리보기
규격화되지 않는 영상들의 극장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88호 / 33 ~ 59페이지
    · 저자명 : 김연호

    초록

    이 글은 한국의 영화비디오법에 명시된 영화의 정의를 살펴본다. 오늘날까지 한국은 일제강점기 시대 용어인 영화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영화(映 畫)”라는 용어는 현재 영화비디오법을 통해 한국영화를 규정하고 영화와 영화가아닌 것의 기준을 가르고 있다. 이 글은 선행적으로 한국에서 활용하게 된 영화의 어원적 기원을 우선적으로 고찰한다. 이후 영화가 아닌 것인 ‘연속적인 영상들’에 대한 탐색을 영화산업에서 탈각된 시각장치들의 궤적을 그려나가며 탐구한다.
    먼저 약 100여 년간 시각장치를 간략히 훑고, 다음으로 규격화되지 않은 영상이 어떻게 새로운 ‘극장술(劇場術, theatre-technique)’을 이루고 있는지 검토한다. 첫 번째 장치는 오늘날 규격화되어 있는 영화와 극장으로 집단적 시각 체험 장소로서 투영형 스크린 장치다. 두 번째는 혼자 보기로서 개인 시각장치다. 세 번째 유형은 파노라마 또는 전방위를 볼 수 있는 시각장치인 파노라마관이다.
    스펙터클 수행자가 아닌 별빛 탐험가로 극장을 마주하기에서는 필자가 기획자로 참여한 기획 중 새로운 극장술을 선보이고 있는 사례를 ‘하나가 아닌 스크린’, ‘모니터 신체와 목소리의 현현’, ‘수행적 전환으로서의 보행 극장’으로 분석한다. 이 글은 관람자의 시각 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공간 안무로 스펙터클 이미지에 길들여진 시각성을 탈주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극장술로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finition of film specified in Korea’s <Korean film & video law>. Today, Korea still use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erm for movies. And the ‘映畫(movie)’ currently defines Korean films through the <Korean film & video law> and determines the standards of movies and non-movies. In this paper, the origin of the ‘映畫’ that was used in Korea was first considered.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ore the ‘continuous images’ that are not movies by drawing the trajectory of visual devices that have been deviated from the film industry.
    Firstly, I wanted to briefly look at the visual device for about 100 years, and next, I wanted to look at how unstandardized videos are forming a new ‘theatre-technique’. The first device is a projective screen device as a collective visual experience place with movies and theaters standardized today. The second is a personal visual device as a solo view. The third type is the panorama or 360-degree omni-directional view of the panoramic view.
    Facing the theatre as a starlight explorer, not a spectacular performer, is the perspective of “a screen, not one,” “a manifestation of a monitor body and voice,” and “a walking theater as a performance trans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howing new theater-techniques among the exhibitions I conducted as a planner. The theater-technique examined in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caping visualization tamed by spectacle images through spatial choreography that can change the viewer’s visual attitu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