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문인들의 尙藝的 서예미학 (Calligraphic aesthetics of wri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who respect ar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02
29P 미리보기
조선후기 문인들의 尙藝的 서예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50호 / 103 ~ 131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초록

    조선후기에 대두된 性情論 ․ 天機論 ․ 性靈說 등은 전통 주자학적 禮敎主義와 같은 사고에서 진일보하여 자유와 개성을 긍정하는 문예이념으로, 擬古에 반하는 문예의 참[眞]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는 王陽明 心學의 사상적 영향 하에 형성된 것으로 주자학의 규범적이고 합리화된 擬古主義에 반대하고 인격적인 독립과 개인의 심미감수를 중시하는 이념이었다.
    이러한 문예사조는 문예전반에서 自得을 심화시켰다. 심학의 미학사유는 과거 전통이나 법규로부터 보다 자유롭고 개성적이며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예술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유에서는 예술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한 반드시 기존의 관념을 따를 이유가 없었다. 때문에 서예에서도 객관적인 규범에 대한 추존과 재현을 거부하며, 텍스트를 재해석 ․ 재구성하여 자득과 創新의 성향이 강화되어 갔다. 그리하여 조선후기는 기존에 비해 서예를 자각적인 예술로 인식하여 서예의 본질을 궁구하고 창작하는 활동이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조선후기 문인들은 서예의 실용 ․ 윤리적 측면보다는 순수 예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다양한 미학과 창작을 선도하였다. 중기까지의 주자학적 서예에서 진일보하여 ‘진정한 조선의 서예미학’을 탐색하고자 했다. 또한 기존의 심미규범과 창작을 고수하지 않고, 사고와 실천에서 변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때문에 서예본질에 대한 규명과 성찰 및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데 관심을 기울였고, 善變과 자득의 실천에 주력하였다. 박지원이 ‘法古創新’을 논하고 이광사가 ‘活物’을 논한 것은 모두 그 시대의 ‘살아있는 서예’를 통해 ‘예술적 성취’를 추구하려는 의식의 소산이었다.
    조선후기의 개방적 사유는 서가들의 학문과 예술정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이로 인해 다양한 서예이론과 창작을 탄생시켰다. 그래서 이 시기의 서예는 조형에만 관심을 두거나 末藝로 치부하는 소극적 접근이 아니라, 서예본질에 대한 철학적 변석과 학문적 탐구가 심화되었다. 이는 서예를 餘技가 아닌 학술 ․ 예술적 차원에서 인식한 결과였다. 이로써 조선의 서예는 개성과 풍격이 한층 성숙하였고, 글씨의 ‘藝’적 측면을 더욱 중시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Seongjeong, Cheongi, and the Holy Spirit, which emer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literary ideologies that supported freedom and individuality by advancing from ideas such as traditional self-reliance. It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ang Yang-myeong's Simhak(心學), which opposed the normative and rationalized willism of self-reliance and emphasized personal independence and individual aesthetic sensitivity.
    This style of literary art deepened self-complacency(自得) in the first half of literature The reason for the psychological aesthetics was to pursue a more free, individual, subjective and creative art from past traditions and regulations. For these reasons, there was no reason to follow existing notions unless the identity of art was lost. Therefore, calligraphy rejected the existence and reproduction of objective norms, and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text to strengthen the tendency of self-discipline and creation. T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lligraphy was recognized as a self-complacency, and the activities of seeking and creating the essence of calligraphy began to stand out.
    The wri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took a purely artistic approach rather than the practical and ethical aspects of calligraphy, leading to various aesthetics and creation. It was intended to advance from the Zhujianic calligraphy to the mid-term to explore the true calligraphy of Joseon.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sense that one should change from thinking and practice without sticking to existing rules of beauty and creation. Therefore, he focused his attention on discovering the essence of calligraphy, reflecting o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focusing on the practice of change and self-complacency. Park Ji-won's discussion of "create a new one based on the old one(法古創新)" and Lee Kwang-sa's discussion of "a living thing(活物)" were all the products of the consciousness to pursue "artistic achievement" through the "living calligraphy" of the era.
    The open reasons of the late Joseon Period greatly influenced the scholarship and artistic spirit of calligraphers, resulting in a variety of calligraphy theories and creation. Thus, the philosophical analysis and academic exploration of calligraphy essence intensified, not the passive approach of calligraphy, which was regarded only as a formative or trivial talent. This was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not as leisure but as academic and artistic dimensions. As a result, calligraphy in Joseon was more mature in character and style, and the artistic aspects of calligraphy were emphasized m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