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유학자들의 서예인식에 관한 연구 (Confucian Scholars’ Understanding of Calligraphy in the Joseon Dynast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4
41P 미리보기
조선 유학자들의 서예인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49호 / 303 ~ 343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초록

    본고는 조선 유학자들의 학문성향과 서예인식의 관련성을 조명한 글이다. 즉, 학문사상적 관점에 따른 서예본질에 대한 이해와,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향하는 서예심미관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조선의 道學者는 서예를 理氣心性論과 연계지어 이해한다. 퇴계 이황은 성리학적 심성론에 기인하여 궁극적으로 ‘敬’의 자세로 일관하면서 유가의 도통관인 心法을 서예의 본질로 상정했다. 우암 송시열 또한 서예의 心法을 본질로 삼으면서도, 心法을 구현하는 심미관을 ‘直’에 두었다. 도학자들은 대체로 서예는 心法의 구현임을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人正則書正의 윤리적 서예관을 형성하였다.
    조선의 實學者는 서예를 우주론적 관점에서 易理的으로 이해하거나, 사실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自得, 實心, 眞 등과 연계지어 인식한다. 옥동 이서는 퇴계의 서예관을 계승하면서도 서예의 본질을 『周易』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적으로 접근한다. 이계 홍양호는 貴古淺今의 사유에서 벗어나 易理로써 서예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善變을 도모한다. 박지원 또한 變易의 사고를 바탕으로 서예는 習俗을 벗어나 자기만의 새로운 형식과 감성의 표현임을 인식했다. 다산 정약용은 서화에 있어서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관념적 풍조를 병폐로 여기고, 원형에 대한 사실적인 표현과 시대정신을 담아낼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서예인식은 기존의 理 중심적 심미관에서 氣 중심적 심미관으로 전향된 것이라 하겠다.
    조선의 陽明學者는 학문의 근원을 良知에 두고, 서예에서 주체적인 心의 발현을 강조한다. 원교 이광사는 기존의 도덕적 心法에서 벗어나, 서예란 자기진정의 眞法을 구현하는 것임을 천명했다. 한편 老莊的 사유를 견지한 창암 이삼만은 서예란 모든 法의 극치를 넘은 無法의 단계, 즉 自得의 절대자유 경지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양명심학·노장적 사유는 기존에 지배적이었던 윤리적 서예인식에서 이미 벗어나 眞情主義 심미관을 지향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조선 유학자들은 학문사상과 서예를 연계지어 이해함으로써 서예의 윤리성·예술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의 서예가 획일화되지 않고 다양한 인식과 심미관을 전개해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lluminates the relevance of the academic propensity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In other words, I understood what the calligraphic essence of the calligraphic viewpoint is an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of the calligraphy based on that perception.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 calligraphy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y of mind and mind. Due to the neo-philosophical theory, Toegye Lee Hwang has assumed the essence of calligraphy, which is the conduit of Yuga, which is ultimately consistent with the attitude of “respect”. Wuam Song Cheol also puts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its essence, while putting the aesthetics that embody the essence into a ‘straight’. The doctors generally recognized that calligraphy was the embodiment of the law of mind, and as a result, they formed the ethical calligraphy of the people’s righteous sentence.
    The practitioners of Joseon recognize calligraphy from a cosmological point of view as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r in connection with self-interest, essence, and truth based on realistic spirit. Although Okdong Isa succeeded the calligrapher of Toegye, he approaches the essence of calligraphy in a metaphysical way in terms of 『周易』. Leegye Hong Yang-ho is a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a reason for deviating from the thought of the present. Park Ji-won also recognized that calligraphy is a new form of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thought of mutation. Dasan Jung Yak-yong emphasizes overly idealistic and ideological trends in the paintings as a sickness and a realistic expression of the original and the spirit of the times. The calligraphers’ perception of calligraphy has been shifted from the existing science-centered aesthetics to the energy-centered aesthetics.
    The Yangmyung scholar of Joseon places the source of learning in good conscience and emphasizes the manifestation of subjective mind in calligraphy. Lee Kwang-sa stated that calligraphy is a realization of the true law of self-calmness. On the other hand, Chanam Lee Sam-man, who maintained the old-fashioned reason, regarded the calligraphy as the absolute level of selflessness which is beyond the extreme of all laws. Such a bilingual study. It is said that the tentative reason is to deviate already from the prevailing ethical calligraphy recognition and to aim for the emotionalism aesthetic.
    In this way, Joseon Confucian scholars can understand the ethics of calligraphy by linking academic thought and calligraphy. Expressed various views of artist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Korean calligraphers have not developed uniformity but developed various perceptions and aesth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