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 (Meanings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05
30P 미리보기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72권 / 2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서현, 임혜림, 명소연, 정익중

    초록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변화된 대학생 당사자들의 문화를 민감하게 반영해 삶의 질 증진을 도울 기초적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대학생 집단의 행복 지원 목적의 사회복지학 유관 학문 간 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입시 성공 사례가 아니어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대학생 총 5명과 종단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olaizzi의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6개의 주제와 함께 “도망칠 곳을 먼저 찾음”, “시작부터 잘못된 재도전”, “자괴감에 억눌린 채 복학함”, “반수 트라우마로 멈춘 성장”, “쓰라림으로 깊어진 내 인생”이라는 5개의 범주를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반수 증가 현상 및 한국의 대학 서열화 문제에 관한 재고찰과 더불어 대학생 시기의 건강한 발달과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논의점을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ill not only serve as a basic task for social welfare experts to help improve quality of life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changed college students, but will als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related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longitudinally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hich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since it was not a successful case in the past. The data collected were explored with Colaizzi's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with a total of 16 topics, five categories, including “looking for an escape first”, “a wrong re-challenge from the beginning”, “return to school suppressed by shame”, “stalled growth due to bansu trauma”, and “my life deepened by bitterness” were discovere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ovided discussion points to support the healthy performance of development tasks during university years, along with the reconsideration of the increasing bansu phenomenon and the university hierarchization issue in Sou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