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복진의 월북과 「우리 대장 들어온다」 (Yun Bok-jin’s Defect to North Korea and “Uri-daejang-deuleo-onda(Here Come Our Captai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윤복진의 월북과 「우리 대장 들어온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35호 / 179 ~ 206페이지
    · 저자명 : 류덕제

    초록

    윤복진의 월북은 의외로 여겨졌다. 일제강점기 그의 문학 활동은 계급주의 아동문학가들과는 문단 행보가 달랐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성격도 동심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윤복진의 해방 후 문단 행보로만 보면 월북이 예고되어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계급주의 문학 단체에 가맹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직책까지 맡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의 행보가 다르고, 이전의 문학관을 스스로 비판하였지만 동요집 『꽃초롱 별초롱』에는 동심주의적 작품만 실었으며, 〈국민보도연맹〉 가입이 강제되자 전향한 것으로 보였는데, 다시 그 뒤 6·25 전쟁이 일어나자 월북한 이력을 일관된 행보라 할 수는 없다. 윤복진의 동시 「우리 대장 들어온다」는 그간 해방기 그의 행보가 기회주의적이었다는 결정적인 근거 자료로 인용되었다. 정영진은 좌익에 동조했던 그가 1949년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하고 반공적인 내용의 이 동시를 발표함으로써 남한 체제에 순응해 살겠다는 일종의 전향을 공개적으로 표방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런 주장은 후속 연구자들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그대로 굳어지는 듯했다.
    그런데 「우리 대장 들어온다」의 원작을 보면 이러한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다. 정영진이 처음 밝혔던 「우리 대장 들어온다」는 발표 시기도 잘못되었지만 그 내용도 아주 달랐다. 첫째 「우리 대장 들어온다」는 1945년 12월 8일 『어린이 신문』에 발표되었기 때문에, 1949년 이후 발표된 것이라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둘째 정영진이 인용한 동시에는 ‘공산군’은 물러가고 ‘공산군기’를 잡아떼라고 하였지만, 원문에는 ‘일본군’은 물러가고 ‘일본군기’를 잡아떼라고 하여 내용 또한 잘못되었다.
    동시의 내용과 발표시기가 당초 정영진이 주장한 것과 다른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우리 대장 들어온다」를 발표함으로써 반공체제에 순응하면서 남한에 남아 살 작정이었다고 한 정영진의 주장은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해방기와 6·25 도중 월북할 때까지 윤복진은 일관된 행보를 견지하였다. 그의 월북은 해방 직후부터 좌익 문단에 몸담았던 것과 같이 변모된 이데올로기적 지향점을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남한만의 단독 정부가 구성된 후 적극적인 좌익 행보를 보이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고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꽃초롱 별초롱』에 동심주의적 작품을 수록한 것은 그의 첫 동요집에 대표적인 작품을 실었다고 보면 될 것이다. 동심주의 작품을 골라 동요집을 묶으면서 그 책의 「跋文」에서 동심주의를 반성한 것이 그의 속내에 가까웠을 것이다. 해방 직후 그가 선택했고 주장했던 이데올로기가 내면에 자의식으로 자리 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1년쯤 뒤에 쓴 글 「석중과 목월과 나」가 이를 뒷받침한다. 윤석중, 박목월에게 자신과 함께 ‘새로운 시대의 옷’을 갈아입고 새로운 시대의 ‘이데옴’과 ‘포름’을 만들어 보자고 하였기 때문이다.
    이 글은 「우리 대장 들어온다」의 발표 시기와 내용이 잘못 알려짐으로써 해방기 윤복진에 대해 엉뚱한 해석과 평가가 이루어진 것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우리 대장 들어온다」의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면, 이 작품을 근거로 해방기 윤복진의 행보를 기회주의적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임을 알 수 있다.
    윤복진에게 있어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의 문학 활동이 모순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문인으로서 친일 활동이나 친일 색채의 작품이 전무하다는 점과 관련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그의 문학 활동을 일관된 관점에서 논의해 볼 수 있다. 이는 후속 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Yun Bok-jin’s defection to North Korea was unexpected. His literary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based on the ideology of child-innocence, distinguishing him from the class-oriented children’s writers whose views had been compatible with those of the Korean Proletarian Artist Federation(KAPF). Asmost of the writers that defected to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were class-oriented and were involved in KAPF, it is reasonable to find Yun Bok-jin’s defection surprising.
    However, it is possible to assert that Yun Bok-jin’s defection could have been foreseen, considering his literary movement after liberation. Not only did he join the KAPF, he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lass-based literary organization.
    Unlike his activitie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his Kkot-cho-rong Byeol-cho-rong(Flower Lanterns Star Lanterns), published in 1949, contains works focusing on the ideology of the innocence of childhood. It can be interpreted that Yun’s views matched those of the leftwing, which took control of the literary worl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hat he then shifted his stance again to align with the rightist government after its establishment in South Korea.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was seen as another reversal.
    His mo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fter liberation was different. He himself criticized his previous literary perspective, but only published works with the ideology of innocence of childhood. Considering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is moves were consistent. His shifting stance could be evidence that he pursued or was forced by the current of the time. However, this explanation leaves his voluntary defection unexplained.
    “Uri-daejang-deuleo-onda(Here Comes Our Captain)” has been referred to as a groundwork for Yun Bok-Jin’s shif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Jeong Yeong-jin insisted that Yun publicly declared some kind of turnaround by joining the National Guidance of Alliance(Bodo-League) in 1949 and publishing anti-communist children’s songs. Subsequent researchers seemed to accept this criticism as it was.
    However, the original “Uri-daejang-deuleo-onda(Here Comes Our Captain)” reveals that this claim is unsubstantiated; Jeong Yeong-jin was incorrect about the book’s publication as well as its contents. First, Jeong wrongfully claimed that “Uri-daejang-deuleo-onda(Here Comes Our Captain)” was published after 1949, when the book was actually published on December 8, 1945. Next, Jeong’s quote of the song writes that the “Communist Army” should retreat and the “Communist Army's flag” should be ripped off. However, the original text says that the “Japanese Army” should retreat and that the “Japanese’s Army’s flag” should be ripped off, making its meaning entirely different.
    Since the content and publication date were confirme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riginally claimed by Jeong Yeong-jin, his argument that Yun intended to stay in South Korea, conforming to the anti-communist system by announcing “Uri-daejang-deuleo-onda(Here Comes Our Captain)” should be dismissed.
    I leave the task of finding consistency in Yun Bok-jin’s literary wor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is literary activities in the liberation period to subsequent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