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The ‘Americanization’ devices of th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ex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60호 / 297 ~ 328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본 논문은 2010년대 미국에서 출간된 여성탈북기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이들텍스트가 ‘미국화’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는 서사(학) 적 장치를 분석해낸다. 이때 여성탈북기의 ‘미국화’란, 북한 주민 인권 문제로 의제화되고 있는 보편 담론이 미국의 인권 담론을 특권화하는 방식으로 생산·소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는 첫째, 탈북 여성의 ‘소녀화’ 이다. ‘무고한 소녀’의 이미지는 북한의 전체주의와 대조되어 현실의 참상을 더욱 실감나게 전달하지만, 그만큼 북한 여성들은 미성년화되고, 그 소녀들이 향하는 미국은 이상적이고 관대한 세계로 표상된다. 둘째, 내포독자의 욕망을 반영하는 ‘유령작가’이다. 유령작가는 탈북자 증언의 내용을 서구 독자에게 ‘읽힐 수 있는’ 텍스트로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읽힐 수 있는’ 텍스트란 단지 언어적번역만이 아니라, 서구 독자에게 익숙한 문화적·이데올로기적 번안까지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냉전 세계 지도의 재생산이다. 탈북기는 증언자의이동 경로에 따라 ‘북한 → 중국( → 몽골) → 남한 → 미국’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각나라의 재현은 냉전 체제를 (재)생산한다. 북한은 ‘권력 과잉’의 전체주의 국가로, 중국은 치안 권력이 작동하지 않는 ‘자연 상태’로 그려진다. 이들의 반대편에놓인 미국은 자유세계로 그려지며, 남한은 이곳에 도달하기 위한 경유지로 나타난다.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을 규명하는 일은 서발턴의 말하기가 언제나지배 담론에 포획될 위험에 놓여 있음을 재확인하고, 탈북 텍스트의 진실성에 대한 책임이 오직 탈북자에만 귀속되는 담론 구조를 해체하는 데 일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North Korean women’s escape narrative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2010s and points to the “Americanization” of these texts. The “Americanization” means that the universal discourse that is being agendized as a human rights issue for North Koreans is produced and consumed in ways that privilege American human rights discourse. The “Americanization” of North Korean women’s tex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girlishization” of North Korean women.
    The image of the “innocent girl” is contrasted with North Korea’s totalitarianism to make the horrors more real, but it also portrays the free world of the United States as an idealized and tolerant place for the girls to go. Second, there is the “ghostwriter” who reflects the desires of the implied reader. The ghostwriter’s role is to produce a text that is “readable” to a Western readers. In this case, “readable” means not only linguistic translation, but also cultural and ideological adaptation that is familiar to Western readers. Third, it reproduces the neo-Cold War world map. The defector moves from ‘North Korea → China( → Mongolia) → South Korea → U.S.’ according to the route of the witness, and the representation of each country (re)produces the Cold War system. If North Korea is a totalitarian state with “excessive power,” China is depicted as a “state of nature” with no functioning police power. On the other side of the spectrum, the United States is represented as the free world, with South Korea as a transit point to reach it. Identifying the devices of “Americanization” i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exts reaffirms that Servalton’s speech is always at risk of being captured by dominant discourses and deconstructs discursive structures that place responsibility for the authenticity of defection texts solely on the defe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