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Cultural 'nets' of meaning of the plantain(芭蕉))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0.06
38P 미리보기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호 / 295 ~ 332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본고는 芭蕉의 문화적 의미를 파초와 연관되는 역사인물과 그 고사, 문학과 회화에서의 형상화, 원예문화와의 관련성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초의 커다란 푸른 잎과 속이 빈 잎 줄기, 여름의 무성함과 가을의 조락, 새 잎이 계속해서 펴져 나오는 생장 모습 등의 생태는 다양한 인문적 상징을 낳았다.
    파초에는 維摩詰, 王維, 懷素, 張載 등 역사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있다. 유마힐의 “是身如芭蕉 中無有堅”이라는 비유는 육신의 덧없음이라는 생멸무상의 불교적 의미를 파초에서 연상하게 하였다. 왕유가 그린 雪中芭蕉는 실제의 너머를 지향하는 超逸한 寫意의 정신을 파초에서 환기시키게 하였다. 초서의 대가인 회소가 파초를 심어 그 잎에 글씨를 연습한 種紙鍊字 고사로 인해 파초는 부단한 연찬을 상징하게도 되었다. 성리학자 장재는 파초를 통해 觀物察理한 <파초>시를 남겨 조선시대 지식인들에게 파초는 격물치지의 대상으로서도 인식되었다.
    파초는 唐詩에서 파초 잎에 시를 쓰는 蕉葉題詩, 여름날 파초 잎에 부딪치는 빗소리를 듣는 芭蕉雨聲, 고향을 떠난 파초처럼 나그네로서 파초우성을 듣는 旅心 등의 시정으로 문학화 되었다. ‘高逸圖’ ‘十八學士圖’ ‘西園雅集圖’ 등의 故事圖에서 파초는 등장인물의 高逸한 인격과 우아한 주거환경을 은유한다. 18∼19세기에는 지식인들이 화훼를 가꾸고 관련 문장을 저술하는 등 원예문화가 붐을 이루어 파초의 생활 속 향유 또한 파초의 문화적 의미를 형성한 요소가 되었다.
    조선시대 문예 작품에서 사물은 물 자체로서 인식되기보다 그것의 역사적, 인문적 의미망 속에서 환기되었다. 산수화가 臥遊의 효용을 제공했듯 사군자화는 比德의 의미로 통용되었다. 파초는 유사한 외래종의 이국 식물인 종려나 소철, 화리 등에 비해 유난히 애호되었고 문학과 회화에 등장한다. 그것은 한자문화권의 文翰의 역사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이러한 문화적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lantain made a frequent appearance in paintings.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thesis to research the plantain's connection to historic figures and events, its expression in literary works, its meaning in paint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lantains in the garden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In literary work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lantain are abstracted in broad and wide leaves, coreless cladophyll, lush leaves in summer and its withering, and its growing looks with new leaves spreading out continuously.
    There are some old events related to some historic figures such as Yumahil(維摩詰), Wangyu(王維), Hoeso(懷素), and Jangjae(張載). Yumahil compared the plantain to the transience of the physical body, and so the plantain got the Buddhist meaning of transience of birth and death. Wangyu painted a plantain piled up with snow, and from this, the plantain was considered to arouse a spiritual mood aiming to reach a world beyond reality. A master of cursive characters, Hoeso, didn't have paper to write on, and so he practiced writing on the plantain leaves. So the plantain is considered to symbolize continuous effort to study hard. A Neo-Confucianist, Jangjae, made poems on plantains, and that was about what he perceived by observing their ecology. And the poems reflect his philosophical introspection. And so, the plantains are cognized as an object of gaining knowledge for the intellectuals in the Choseon dynasty.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plantain, having roots in the poetry of Tang dynasty,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in Choyeopjaesi(蕉葉題詩)-writing on a leaf of plantain, Pachowooseong(芭蕉雨聲)-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summer, Yeoshim(旅心)-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a place away from home.
    In old paintings such as ‘Goildo(高逸圖)’ ‘Sippalhaksado(十八學士圖)’ ‘Sawonahjipdo(西園雅集圖)’, plantains were mostly painted as precious and beautiful scenery with oddly shaped stones, and they are a metaphor for the lofty personality and elegant hosing environment of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gardening culture was created as a boom among the intellectuals, and they initiated some activities such as growing flowering plants and writing some sentences about th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lanting plantains and their effectiveness in real life worked as factors in many paintings of plantain.
    Natural objects used as subject material in literary works of the Choseon dynasty have been called to attention here in their historic and literary nexus or 'nets' of meaning. That the plantain, although it was from abroad and not commonly seen, is frequently used as a subject in painting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regarded as the effect of old events related to historic figures and to traditional usage in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