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인 류학생을 위한 이북의 조선어 듣기 교재 분석(1):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의 단원 구성과 듣기 자료의 특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orth Korea's Korean Listen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1):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 organization and listening materials of Kim Hyung Jik College of Education's-“L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5.03
25P 미리보기
외국인 류학생을 위한 이북의 조선어 듣기 교재 분석(1):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의 단원 구성과 듣기 자료의 특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5호 / 465 ~ 489페이지
    · 저자명 : 오현아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북의 외국인 류학생을 위한 조선어 듣기 교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한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을 대상으로, 2장에서는 <조선어 듣기> 교재의 목표 및 구성을, 3장에서는 <조선어 듣기> 교재를 분석하기 위해 1) 단원 전개 방식, 2) 듣기 자료의특성, 3) <어휘표현(풀이)>의 특성, 4) <련습>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다만 지면 관계상 여기에서는 ‘2) 듣기 자료의 특성’ 까지 다루었고, 후속 논의에서 ‘3) <어휘표현(풀이)>의 특성, 4) <련습>의 특성’을 다루고자 한다.
    결과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의 교육 대상, 단원 구성, 단원 전개 방식, 듣기 자료의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은 ‘류학생본과 1학년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서 ‘19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은 ‘류학생본과 2, 3 학년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서 2편 23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에서는 ‘류학생본과 2, 3 학년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서 2개의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편에서는 ‘동화이야기와 텔레비죤토막극 11편, 조선예술영화 2편에 대한 듣기를 위주로 하면서 그에따르는 다양한 형태의 련습문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제2편에서는 ‘자랑찬 성과들을 소개한 소개편집물에 대한 듣기를 위주로 하면서 과학영화와 경희극을 더 포함시켜 교재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듣기 자료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의 단원 전개 방식은‘과 제목 – 도입 텍스트– 새 단어 – 어휘표현풀이 – 듣기전 련습 – 듣기후 련습’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 (2013)의 단원 전개 방식은 ‘과 제목 – 새 단어 – 어휘표현 – 련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조선어 듣기> 교재에제시된 듣기 자료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형식적 측면에서는 『조선어 듣기 1(류학생용)』(2013)에서는 이야기와 대화문, 보도기사와이야기, 시, 일기, 상식이, 『조선어 듣기 2(류학생용)』(2013)의 1편에서는 동화이야기, 텔레비죤토막극, 조선예술영화가, 2편에서는 소개편집물, 조선기록영화, 조선아동영화, 조선과학교육영화, 조선과학영화, 경희극이 듣기 자료로 제시되고 있었다. 다섯째, <조선어 듣기> 교재에 제시된 듣기 자료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일상적 자료뿐만 아니라 현 지배 체제 찬양 자료, 외세 배격 자료, 일상생활 관련 계몽 자료, 과학기술 발전을 강조하는 자료, 잔인한 자료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이북의 외국인 대상 듣기 교재의 실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에 대한 이해가깊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듣기 자료로 제시된, 이남에서는 낯선 ‘텔레비죤토막극, 소개편집물, 경희극’ 장르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This study analyzes Joseo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in North Kore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Joseo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1 (for foreign stu dents)”(2013) and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 (for foreign students)” (2013) published by Kim Hyung Jik College of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Joseo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in Chapter 2, the goals and organization of the Joseo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and in Chapter 3, the Joseon language listening textbooks were divided into 1) unit development method, 2)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materials, 3)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expression (solution), and 4) characteristics of practice. However, due to space limitations, we have covered '2)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ing materials' here, and will cover '3)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expression (solution) and '4)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in the subsequent discussion.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target audience, unit organization, unit development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ing materials in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1”(2013) and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 (2013). First,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1”(2013) is a textbook for first-year foreign students and consists of 19 lessons, while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2013) is a textbook for second- and third-year foreign students and consists of two parts and 23 lessons.
    Secondly,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2013) is ‘a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consisting of two parts’, and in the first part, it ‘focuses on listening to 11 fairy tales, 11 television vignettes, and 2 Joseon art films and presents various types of exercises’, and in the second part, it ‘focuses on listening to an introductory compilation of proud achievements and includes more science films and light comedies’. In other words, it presents a variety of listening materials that can be encountered in daily life compared to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1”(2013). Third, the unit structure of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1”(2013) consists of ‘lesson title - introduction text - new words - vocabulary ex pression - pre-listening practice - post-listening practice’, while the unit structure of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2013) consists of ‘lesson title - new words - vocabulary expression – practice’. Fourth,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s tening materials presented in the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textbooks and found that, in terms of format,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1”(2013) included stories, dialogues, news articles, stories, poems, diaries, and common sense;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2013) included fairy tales, television skits, and Joseon art films in the first part; and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2”(2013) included introductory compilations, Joseon archival films, Joseon children's films, Joseon science films, Joseon science films, and light comedies in the second part. Fifth,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listening materials presented in the <Listening to Joseon language> textbooks, we found that they included not only everyday materials, but also materials that praised the current ruling regime, materials that rejected foreign powers, enlightening materials related to daily life, materials that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ruel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language educa tion as a foreign language while confirming the current state of listening textbooks for foreigners in North Korea.
    It is also expect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s of ‘television one-act play, introductory compila tions, and light comedy’ that are unfamiliar to South Koreans, which are presented as listening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