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몬 드 보부아르의 성적 경험 재해석 : 존재의 욕망에서 상호적 드러냄의 추구로 (La réinterprétation de l’idée du vécu sexuel chez Simone de Beauvoir : Du désir d’être à la poursuite du dévoilement réciproqu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시몬 드 보부아르의 성적 경험 재해석 : 존재의 욕망에서 상호적 드러냄의 추구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어불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불어불문학연구 / 126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강초롱

    초록

    본 논문은 보부아르가 어떻게 사르트르의 존재론적 실존주의를 비판적으로 경유해서, 성적 경험에 대한 자신만의 사유를 윤리적 실존주의의 틀 안에서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존재와 무』에서 사르트르는 정상적인 성적 경험을 대타존재인 인간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투쟁의 악순환을 이루는 요소로 규정한다. 물론 성적 경험에 대한 윤리적 재해석을 통해 이러한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성적 경험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 암시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 가능성을 암시하는 데 그치고 있을 뿐 사르트르는 그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지는 않았다. 대신 우리는 보부아르의 사유 속에서 이에 대한 성찰의 구체적인 결과를 목도하게 된다. 특히 『제2의 성』에서 보부아르는 사르트르가 결과에만 집중한 나머지 간과했던, ‘과정’으로서의 성적 경험이 내포하고 있는 윤리적 실존으로서의 체험 가능성에 주목해 그것을 구체화한다. 그 결과 사르트르에 의해 부정적으로 그려졌던 살화와 성적 쾌락이, 성적 경험의 당사자 모두를 자유로운 개별적 실존자로 드러나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긍정적인 계기로 재해석되기에 이른다. 나아가 이를 통해 보부아르는 실존주의와 윤리론이 맺고 있는 상관관계를 증명하는 데 성공한다.

    영어초록

    Notre étude a pour but d’examiner comment Beauvoir, traversant de façon critique l’existentialisme ontologique de Sartre, arrive à développer sa pensée du vécu sexuel dans le cadre de l’existentialisme moral. Dans L’être et le néant, Sartre définit le vécu sexuel normal comme constituant du cercle vicieux de l’échec et de la lutte où des êtres humains s’enferment inévitablement. Même s’il est vrai que Sartre ouvre des possibilités de le reconnaître au point de vue moral, il se contente juste de les suggérer sans approfondir sa réflexion sur ce sujet. C’est Beauvoir qui l’a développée d’une manière concrète. En portant tout son intérêt au processus de vécu sexuel surtout dans Le Deuxième Sexe, elle en tire des possibilités de le faire renaître en tant qu’expérience d’une existence morale. Par conséquent, la signification positive impliquée dans les concepts d’incarnation et de plaisir sexuel est remise en lumière dans le contexte moral par Beauvoir. En outre, elle réussit à démontrer une certaine interrelation entre l’existentialisme et la mora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어불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