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주의 통치성과 복지국가에 대한 푸코와 에발드의 사유 (Foucault and Ewald on Liberal Governmentality and the Welfare Stat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4.12
34P 미리보기
자유주의 통치성과 복지국가에 대한 푸코와 에발드의 사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27권 / 3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임미원

    초록

    푸코의 후기연구에 대해서는, 신자유주의의 ‘분석’을 넘어 그에 대한 ‘옹호’론을 펼친 것이라는 평가가 있어 왔다. ‘신자유주의에 대한 그의 진정한 입장이 무엇이었나’에 관한 논쟁의 중심에서 푸코의 신자유주의 친화성의 맥락을 이해시키려 한 이론가가 에발드이다.
    푸코와 에발드의 정치적 학문적 관심은 프랑스 68혁명기의 급진 좌파적 마오이즘으로부터 反마르크시즘, 反국가주의(anti-statism) 및 신자유주의를 포괄하는데, 특히 1970년대 이후 푸코는 통치성 테마에 집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에발드는 19세기 산업화로 촉발된 사회적 리스크 및 그에 대한 안전장치로서의 보험-복지 제도를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해석해냈다. 그에 따르면 19세기 말 산업 재해가 급증함에 따라 제정된 1898년 입법은 ‘과실-책임’이 아니라 ‘직업적 리스크’라는 범주에 기초한 새로운 정치적 테크놀로지 및 새로운 ‘연대성’의 탄생과 같다.
    당대의 정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진행된 푸코의 통치성 분석은 20세기의 사회적 안전 및 부의 재분배(복지) 문제,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가의 역할 문제와 이어져 있다. 20세기 복지국가 체제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푸코는 효율적 최소통치 속에서 사회적 리스크-안전 메커니즘을 보다 자율적으로 작동시키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을 상대적으로 긍정 평가하였는데, 그가 일관되게 견지한 것이 있다면, 정치 및 복지의 기획은 국가의 탈집중화와 개인들의 주체화를 지향해야 하며, 이런 복지체계의 프로그램은 소수성과 차이에 대한 관용, 유연성,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복지 구상과 이어져 있는 것이, 비가시적 존재로서의 사회적 주변인들에게 정치적 중심성 및 정체성을 부여하려는 그의 정치 문화적 구상이다.
    ‘사회적인 것의 자율성’ 및 ‘자기주도적 정체성’ 형성을 지향하는 푸코의 사회적 복지 관념에 상응하는 최근의 제도적 제안이 있다면, 그중 하나가 기본소득이다. 이 제도는 노동과 이미 분리된 비생산적인 자들의 배제와 빈곤의 문제를 시민적 연대성의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점차 정치적 진영의 구분 없이 제안되고 있다.
    자유주의를 옹호한 자라기보다는 ‘자유주의를 탐구한 자’로서 푸코의 사유 속에는 근대성의 자기지양과 자기혁신의 계기들이 이렇듯 다양하게 내포되어 있다.

    영어초록

    Some scholars claim that Foucault advocated for neoliberalism in his later work. At the center of the debate about Foucault’s true position on neoliberalism is Ewald, a theorist who has tried to explain Foucault’s sympathy with neoliberalism.
    The political interests of Foucault and Ewald range from the radical left’s Maoism to anti-Marxism, anti-statism, and neoliberalism, but especially since the 1970s, Foucault has focused on the theme of governmentality that has led Ewald to research the social risks an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the 19th century. According to Ewald, the 1898 social legislation of French Third Republic, enacted in response to the workplace accidents, was the birth of a modern political technology and a new ‘solidarity’ based on the category of ‘professional risk’ rather than ‘fault’ and ‘responsibility’.
    Foucault’s analysis of governability, coupled with his engagement with the political realities of his time, is linked to the issues of social security, social welfare, an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late 20th century. While Foucault was critical of the welfare state system of the 20th century, he was relatively positive about neoliberal governmentality, which enables social security mechanisms against social risks to operate more autonomously. On the issue of welfare, he maintained that the welfare planning should be oriented toward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state and the subjectivization of individuals, and that the programs of such welfare systems should support tolerance, flexibility, and autonomy for minorities and differences. Connected to this view of welfare is his political and cultural conception of giving political identity and centrality to the social ‘marginal’.
    One of the social programs that corresponds to Foucault’s notion of social welfare, which aims at the ‘autonomy of the social’ and the ‘formation of a self-directed identity’, is Basic Income. It addresses the issues of poverty and the exclusion of the unproductive, who are already separated from labor, and is increasingly being proposed by various political camps.
    As an “explorer of liberalism” rather than an advocate of liberalism, Foucault’s thought contains the multiple motifs of self-sublation and self-innovation of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