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The Shamanic Perspective on Social Outcasts: Focus on the Final Stage of Gu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12
31P 미리보기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51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황루시

    초록

    굿의 마지막 제차는 철상을 한 뒤에 밖에서 떠도는 잡귀잡신을 풀어먹이는 것이다. 굿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뒷전, 마당굿, 거리굿, 중천멕이 등 다양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뒷전으로 통칭한다. 대개 뒷전은 말로 잡귀들을 풀어먹이지만 규모가 큰 굿에서는 무당이 장구재비와 재담을 주고받으면서 연극적으로 진행한다.
    뒷전은 사회의 외곽에서 인간다운 대우를 받지 못하고 살다가 결국 비참한 죽음을 한 존재들을 위로하는 굿이다. 이런 존재들을 잘 달래주어야 사람들에게 피해가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뒷전에는 한을 풀어주어야 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뒷전의 인물들을 사회적 약자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사회적 약자는 장애인, 여성, 그리고 동시대의 소외된 서민의 3부류로 나눌 수 있다. 장애인은 태생적인 사회적 약자이다. 그러나 뒷전에서는 장애인도 당당한 인격을 가지고 한을 푸는 존재로 등장한다. 뒷전은 폭력에 희생당한 여성이나 일상적인 이웃의 절박한 삶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자신의 모습을 본다. 뒷전은 억울한 삶을 살다가 죽어서도 그 한을 풀지 못한 존재들에 대한 관심이고 배려이다. 그들의 아픔을 기억하는 장치이고 살아있을 때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사람들을 대변하는 자리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사회적 약자들은 다음과 같은 무속의 관점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소외된 존재에 대한 관심, 보잘 것 없는 작은 존재와도 화해하려는 의지이다. 두 번째는 뒷전의 인물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뒷전에 등장하는 잡귀들은 아무 힘없는 사회적 약자일 뿐이다. 그런 인물들을 보면서 관중은 동질감을 느낀다. 인물의 행동을 보면서 웃지만 웃음의 대상 속에 나도 들어있다는 것을 안다. 나 또한 이 사회의 약자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the final phase of the gut, the table is cleared and sacrificial food is used to drive out wandering minor evil spirits. The name of this gu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with examples including ‘madang-gut’, ‘geori-gut’ and ‘jongcheonmaegi‘, but this paper has opted to use the collective term ‘dwi-jeon (the last phase)’. In most ‘dwit-jeon’, minor evil spirits are exorcised through the spoken word, but in large-scale guts, this phase is performed in a theatrical manner as a witty exchange between the mudang and the drummer.The ‘dwit-jeon’ comforts those who were positioned on the outskirts of society and unfair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before dying a tragic death. It is believed that these spirits must be consoled to prevent them from inflicting harm on the living. During the dwit-jeon, diverse figures appear whose ‘han’ must be relie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se figures in relation to the issue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socially outcast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3 categories: the disabled, women and contemporary working class people. Disabled people are socially disadvantaged from birth. However, during the dwit-jeon, they appear as figures who boldly unleash their han. The lives of women who have fallen victim to violence and the taxing lives of ordinary people are expressed through the dwit-jeon. The audience can see themselves reflected in the dwit-jeon. The dwit-jeon is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and respect for those who were unjust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and have not been able to release their han even after death. It is a platform for remembering the pain and speaking on behalf of those who were unable to speak for themselves during their own lifetime.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gure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reflect the following views of Korean shamanism: Firstly, Korean shamanism takes an interest in the socially marginalized and desires reconciliation even with those who are small and insignificant. Dwit-jeon is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and respect for those who were unjustly treated during their lifetime and were unable to release their han even after death. It is a device used to commemorate their pain and a platform for speaking on their behalf. Secondly, viewers of shamanic performances can 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e figure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The minor evil spirits who appear during the dwit-jeon are no more than helpless social outcasts. The audience can sympathize with these figures. Though they may laugh at the actions of these figures, they understand that they themselves are also the subject of the laughter, as we too are socially disadvanta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