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르그리트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양혜규의 작업 (The Study of The Works of Haegue Yang : An Approach through Marguerite Duras and écriture féminin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12
21P 미리보기
마르그리트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양혜규의 작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1호 / 225 ~ 245페이지
    · 저자명 : 전유신

    초록

    양혜규는 최근 프랑스의 여성 소설가 마르그리트 뒤라스에 대한 관심을 전시와 번역서 출간, 연극, 영화제 개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양혜규는 뒤라스를 여성주의로 해석한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를 자신의 출판물에서 자주 인용하고 있는데, 크리스테바는 남성과는 다른 여성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차이의 페미니즘을 주장한 프랑스 페미니스트들 중 한사람이다. 프랑스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를 주장하며, 뒤라스를 여성적 글쓰기를 하는 유일한 프랑스 작가로 손꼽기도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뒤라스의 글쓰기, 그리고 그것을 여성적 글쓰기로 정의한 차이의 페미니즘, 그리고 양혜규의 작업이 갖는 관계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II 장에서는 마르그리트와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뒤라스는 프랑스 식민지였던 베트남에서 보낸 유년시절을 자신의 소설 속에서 다양하게 변주한다. 프랑스의 페미니스트들은 뒤라스를 여성적 글쓰기 작가로 지목하는 것 역시 뒤라스의 무의식을 지배하는 이 유년 시절의 상징성과 기억의 잔상을 고스란히 전달하는 감각적 글쓰기의 방식 때문이다. 뒤라스와 차이의 페미니즘은 여성의 신체가 가진 타자적 특성을 드러내는 글쓰기를 지향하고자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이성과 연관되는 시각보다는 청각이나 촉각적 감각을 중시하는 공감각성을 강조해 여성 신체의 타자성을 드러내고자 하며, 여성을 억압하는 이분법적 구조를 자유롭게 위반하는 글쓰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III 장에서는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가 공유하는 이러한 특성을 양혜규가 자신의 작업에서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양혜규는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의 공감각적 텍스트를 블라인드와 함께 가습기, 적외선 히터, 향 분사기 등 여러 가지 감각기계들을 사용함으로써 재현해낸다.
    두 번째로 양혜규는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가 위반하고자 하는 이분법 구조를, ‘쌍’과 ‘짝’, ‘삼각형’과 같은 개념을 사용해 번역하고 있다. 양혜규의 ‘쌍’이나 ‘짝’이라는 개념은 서로 적대적이고 위계 관계를 갖는 대립적 요소로서의 남성적 이분법이 아닌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하고 경계를 위반하는 것이 가능한 여성적 글쓰기의 이분법 개념과 연계된다. ‘삼각형’ 역시 대립적이고 공존하기 어려운 이분법적 쌍이 하나 더 추가된 이분법의 확장된 개념이자 이분법의 경계가 무너진 상태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양혜규는 타자들이 공존하는 공간을 글쓰기를 통해 창출하고자 했던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를 ‘집’과 ‘집 없음’이라는 개념과 연관해 번역한다. 뒤라스에게 집은 가정과 모국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데, 양혜규에게 가정은 부엌이나 가전기구와 같은 오브제들과 연관되어 집의 개념으로 작품화되고, 모국은 노마드나 디아스포라(diaspora) 등의 개념과 연결되어 ‘집 없음’의 개념과 연결되어 드러난다. 최근에는 집과도 같은 자신의 작품에 집 없는 사람들, 특히 역사적 디아스포라와 연결된 인물들을 불러오는 작업들을 보여주고 있다. 양혜규와 뒤라스의 ‘집’과 ‘집 없음’은 단순히 대비되는 짝을 이루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집이 결국 모국이나 집을 잃어버린 디아스포라들을 위한 공간이 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양혜규-뒤라스-차이의 페미니즘(여성적 글쓰기)라는 삼각형은 양혜규-뒤라스-탈식민성의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뒤라스는 여성적 글쓰기와 차이의 페미니즘 그리고 탈식민주의 논의의 교집합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작가이며, 양혜규는 뒤라스를 번역하면서도 보다 확장된 탈식민성에 관심을 보인다는 점에서 역시 그 두 담론의 교집합과 연계될 수 있는 작가이다.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의 관계를 통해 양혜규의 작업을 보고자 하는 것은 그녀의 작업을 단순히 페미니즘 논의로 한정시키려는 시도라기보다는 탈식민주의 연구와의 접목을 통해 보다 확장된 최근의 페미니즘 논의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Haegue Yang has recently revealed her interests on Marguerite Duras, the french woman writer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exhibitions, translation book, play and film festival. She often quotes passages of Julia Kristeva on her books, who is one of the french feminists insisted on the feminism of the difference. French feminists have an interest on the female identity different from the male and tried to reveal the difference through ‘écriture féminine’. They also made a choice Duras as the only french writer practicing ‘écriture féminine’. I wa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writing of Duras, the feminism of the difference and the works of Yang.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s and ‘écriture féminine’. Duras dealt with the experience and the memory on her childhood spent in Vietnam, a french colony as the subject of her various works. The symbolism of the childhood controling her unconsciousness and the sensational style of writing conveying the afterimage of the memory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her works. Écriture féminine tried the writing reflecting the Otherness of the female body, which focus on the synesthesia and the dismantlement of the dichotomy. French feminists thought that the works of Duras reflect these factors of ‘écriture féminine’ and regarded her as the only ‘écriture féminine’ writer.
    In the third chapter, I will focus on how Yang represents these factors that Duras and ‘écriture féminine’ have in common. First, she represents the synesthetic texts of Duras and ‘écriture féminine’ by using the blind as the object and the sensory machines such as a humidifier, an infrared heater and a fragrance diffuser. Second, she translates the dichotomy through the concepts of 'doubles', 'couples' and 'triangle'. The concepts of 'doubles' and 'couples' are not related with the male dichotomy, which is composed of the opposite and the hierarchical, but related with the female dichotomy, which recognizes the difference and goes beyond the boundary. Triangle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ansion or the dismantlement of the dichotomy. Third, Duras and ‘écriture féminine’ tried to create the space that the others coexist through the writing, and Yang interprets the space through the concepts of 'Home' and 'Homelessness'. In the works of Duras, Home has two meanings as both the domesticity and homeland. In the works of Yang, the domesticity is related with the concept of Home, which is shown through the works related with the concept of the kitchen or is represented as the objects such as the home electronics. Homeland is related with the concept of 'Homelessness',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work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nomad or diaspora. She often invites homeless, the historical figures associated with the diaspora in her works like home. Home and Homelessness of Duras and Yang are not simply the couples of the opposite concepts, but Home finally becomes the space for the homelessness losing homeland. In this sense, the triangle of Haegue Yang-Marguerite Duras-the feminism of the difference(écriture féminine) can be connected with the triangle of Haegue Yang-Marguerite Duras-postcolonialism.
    Duras can be positioned in the intersection of écriture féminine, the feminism of the difference and the postcolonialism. Yang translates Duras, but she has revealed an interest on the expanded postcolonialism. In the sense, she can also be position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two discourses. Today, the feminism discourse has widen the research area to the gender study including various others beyond woman, which can be possible with the help of the postcolonialism discourse. In conclusion, studying the works of Ya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s and écriture féminine is not a try to limit her works to the feminism discussion, but a try to see her works with the expanded view of the contemporary feminism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