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25전쟁기 마오쩌둥(毛澤東)의 군사분계선 설정 전략 (Mao Zedong’s strategy for establish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during the Korean Wa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03
34P 미리보기
6·25전쟁기 마오쩌둥(毛澤東)의 군사분계선 설정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 / 39권 / 1호 / 253 ~ 286페이지
    · 저자명 : 최윤철

    초록

    본 연구는 정전협상 논의 초기 시기(1951. 6.∼10.)에 정전협정을 조기에 마무리 짓고자 했던 마오쩌둥이 왜 군사분계선 설정을 조기에 마무리 지을 수 없었는지를 시계열적으로 살펴서 그 함의를 찾는 데 있다.
    연구는 6·25전쟁 기 중국, 소련 내부에서 정전협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던 1951년 6월 이후로부터, 마오쩌둥의 ‘분사분계선 설정’에 대한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상회관계동학을 다루고 있다.
    6·25전쟁 기 전쟁후원국으로서의 소련과 전쟁지원국으로서의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은 스탈린-마오쩌둥 간에 서열적 관계가 형성되었고, 정전협상 초기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 시기에 이르러서 보다 전략적인 형태로 나타난 면이 있다. 마오쩌둥은 ‘정전협상 의제’를 결정하고, ‘군사분계선 설정’ 논의를 시작하면 빠른시일 내에 정전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마오쩌둥은 순망치한(脣亡齒寒)이라는 지정학적 관점의 대(對)한반도관에 기초해서 최적의 군사분계선을 설정하고자 하는 한편, 미군 폭격에 의한 군사적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조기에 38도선을 중심으로 군사분계선을 설정하여 정전협정을 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스탈린의 세계전략이 맞물려 정전협상 타결이 지연되는 상황 속에서 ‘미군과의 접촉선을 중심으로 군사분계선을 설정하되 서부지역에서의 전략적 지역 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우회하여, 스탈린의 의도를 따르되 지정학적 이점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적으로 조기정전 여건을 형성시키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Mao Zedong, who tried to close the armistice agreement early in the early period of discussions on the armistice negotiations (June-10, 1951), and why it was impossible to conclude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early. Have.
    Since June 1951, when discussions on armistice negotiations were held within North Korea, China,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Korean War,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Mao Zedong agreed to’debate on establishing a divisional demarcation line’ and the dynamics of Mao Zedong and Stalin. Dealing with.
    During the Korean War, the Soviet Union as a supporter of the war, China as a supporter of the war, and North Korea’s political leaders, which were parties to the war, formed a hierarchical relationship ranging from Stalin-Mao Zedong-Kim Il-sung, and this was the result of the five times of the Chinese campaign. Unlike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ampaign was performed (1950.10.~1951.5), there is a new aspect that emerg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armistice negotiations when the demarcation line was established. Mao Zedong thought that if the ‘Agenda for Armistice Negotiation’ was decided and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started, an armistice agreement could be concluded as soon as possible. However, the process was not smooth. On the other side, Mao Zedong’s China-centered military demarcation line overlooking the Korean Peninsula aims to establish an optimal military demarcation line from a geopolitical point of view o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n armistice agreement.
    In a situation where the time to conclude the armistice negotiations is delayed due to the integration of Stalin’s global strateg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is established around the contact line with the U.S. forces, but the strategy is to secure strategic areas in the western region. It follows Stalin’s intentions, but tries to create conditions for an early blackout intern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지역연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