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環境司法액세스權과 行政訴訟法 第12條의‘法律上 利益’의 解釋(대상판결: 2006. 12. 22. 선고 2006두14001 판결) (Die Auslegung der Klagebefugnisregelung im Zusammenhang mit dem Zugang zur Umweltverwaltungsgerichtsbarkeit - Oberstes Gericht, Urteil vom 22. 12. 2006, 2006Du14001-)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9.06
31P 미리보기
環境司法액세스權과 行政訴訟法 第12條의‘法律上 利益’의 解釋(대상판결: 2006. 12. 22. 선고 2006두14001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행정판례연구 / 14권 / 273 ~ 303페이지
    · 저자명 : 김현준

    초록

    행정처분의 근거 법규 또는 관련 법규에 그 처분으로써 이루어지는 행위 등 사업으로 인하여 환경상 침해를 받으리라고 예상되는 영향권의 범위가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 그 영향권 밖의 주민들은 당해 처분으로 인하여 그 처분 전과 비교하여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다는 자신의 환경상 이익에 대한 침해 또는 침해 우려가 있음을 증명하여야만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으로 인정되어 원고적격이 인정된다는 취지의 대상판결(대법원 2006. 12. 22, 2006두14001 판결)은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해 종래 일관된 판례의 연장선상에 서 있는 판례이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 또는 사전환경성검토의 대상지역 안팎을 기준으로 하는 원고적격 판단은 적절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원고적격 확대를 위한 이론발전가능성을 저해하는 역할마저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검토할 여지가 있음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첫째, 환경행정소송에서 제3자의 원고적격은 국민의 권익보호라는 통상적인 요청 이외에 우리 헌법이 규정하는 환경권으로부터도 각별히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오르후스협약에서 맨 처음 규정된 바 있는 환경사법액세스권을 우리 헌법상 환경권의 내용으로 넣어 환경행정소송의 경우 행정소송법 제12조의 해석은 이 환경사법액세스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상판결을 비롯한 우리 법원의 원고적격 판단방식은 원고에게 지나치게 무거운 주장·입증책임을 지우는 면이 있는데, 사회통념에 비추어 합리적인 범위에서 적극적으로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획정기준을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환경행정소송에서 사전환경성검토협의 대상지역이나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의 안팎을 기준으로 하는 판단방식은 적절하지 않으며, 이는 판례의 적극적인 원고적격에 대한 해석시도를 막는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대상지역 안팎의 기준에 의존하는 판례의 경향은 지양되어야 한다.
    넷째, 환경사법액세스권의 실현을 위한 행정소송법 제12조 전단의 규정에 대한 해석론으로 법률상 ‘이익’개념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처분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하는 이익의 내용 및 성질, 그리고 처분이 위법하게 된 경우에 침해될 우려가 있는 이익의 내용·성질 및 이것이 침해되는 태양·정도 등에 대해서는 원고적격 판단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다양한 법원의 적극적인 해석기준을 통하여 국민들의 환경사법액세스권이 실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befaßt sich mit der kritischen Untersuchung über die Rechtsprechung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 zur Klagebefugnis des Umweltverwaltungsprozesses.
    Das oberste Gericht hat in seiner Entscheidung vom 22. 12. 2006 entschieden, dass die Kläger, der innerhalb der UVP-Orte wohnen, Klagebefugnis zur Verfolgung von Umweltinteressen hat, während die andere dafür ihre Rechtsverletzung durch die Umweltbeeinträchtigungen nachweisen sollen.
    Hierbei kommt es auf die Auslegung des rechtlichen Interesse im §12 KVwGO als die Klagebefugnisregelung. Dieses Kriterium der Rechtsprechung stellt aber m.E. die einigen Probleme dar. Vor allem kann die Tendenz der Rechtsprechung die Klagebefugnis der außderhalb der UVP-Orte wohnenden Kläger erheblich beschränken lassen.
    Um diese Probleme zu vermeiden, sind die folgende Punkte bei der Auslegung des §12 KVwGO zu berücksichtigen;
    - die Bedeutung und der Zweck der Norm, die die Verfügung ermächtigt.
    - der Inhalt und die Beschaffenheit des zu berücksichtigenden Interesses in der Verfügung
    - die Bedeutung und der Zweck der betroffenen Norm
    - der Inhalt und die Beschaffenheit des zu eingreifenden Interesses in der rechtswidrigen Verfügung sowie dessen Art und Umfang.
    Insbes. die Punkte 2 und 4, welche bisher von der obersten Rechtssprechung vernachlässigt worden sind, sollte man die Augen nicht davor schließen.
    Darüber hinaus betont der Verfasser, dass die Klagebefugnisregelung im Zusammenhang mit dem Zugang zur Umweltverwaltungsgerichtsbarkeit ausgelegt werden so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