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시학적 연관성에 대한 소론-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의 경우 (A Study on the Poetic Connection between Heterotopia and Allegoric Locality: An Instance of Kim Myung-In’s Poetical Collection Dongducheon)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12
45P 미리보기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시학적 연관성에 대한 소론-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93호 / 419 ~ 463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희

    초록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는 자본 권력이 행사하는 공간의 통제와 기획에 맞서 유토피아적 공간을 ‘현실’에 실현하려는 ‘대항담론’이라는 점에서 근대의 공간-장소 분석에 특별한 의미를 제공한다. 헤테로토피아가 현실, 특히 문학 작품에 작동하는 고유의 방식은 알레고리적 사유를 통해서 드러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대항담론’이라는 역사적 성격 때문이다. 본고가 근대의 공간-장소 분석을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라는 개념에 근거해 설명하려는 이유는 실존들이 겪는 소외와 억압의 하중이 ‘정치·경제적’ 측면보다 ‘장소적’ 측면에 더 깊게 각인되기 때문이다. 장소의 실존적 맥락은 자기보존욕구(conatus)에 의해 형성된다. 자기보존욕구란 장소 박탈에 맞서는 장소 회복의 의지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현실에 유토피아적 장소를 구현하려는 헤테로토피아적 의지와 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대항담론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가 역사에 대한 알레고리적 사유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는 논거를 미셸 푸코와 앙리 르페브르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의 특징과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을 통해 제시하고, 그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특징을 장소 박탈과 장소 회복이라는 측면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김명인 시에 나타난 ‘고아원’, ‘학교’, ‘포주집’ 등은 개인과 역사의 아픔이 결절(結節)된 수난의 장소들이라 할 수 있다. 결절된 장소들이 배치된 ‘동두천’은 유년의 장소적 체험과 역사적 상흔이 알레고리화된 장소이면서, 일상의 장소가 아닌 ‘다른’(heteros) 장소, 즉 실존 회복의 염원이 내포된 헤테로토피아적 장소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는데, 그것을 ‘일탈의 헤테로토피아와 장소의 패닉’, ‘거울의 헤테로토피아와 혼혈(混血)의 알레고리’라는 주제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명인의 시적 세계가 역사적 수난과 실존의 근원성을 동시적으로 포착해내는 ‘알레고리적 리얼리즘’에 입각해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으며, 그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적용한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 시학적 연관성’이라는 소론이 한국 현대시의 공간-장소 분석의 다양화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a ‘counter-discourse’ aiming to embody an utopian space in ‘reality’ against the capital power’s spatial control and project, heterotopia gives a particular significance to the analysis of modern space-locality. The peculiar mode of heterotopia operating on reality, especially on literary works, is forced to appear in allegoric thought. For the ‘counter-discourse’ is a historical trait of heterotopia. Since the weights of elimination and pressure on existences have been inscribed more deeply in ‘spatial’ than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the analysis of modern space-locality is to be explained on the notions of heterotopia and allegory. The conatus makes the existential context of locality. As a will to regain a locality against depriving of it, the conatus is able to be in common with the heterotopian will to embody an utopian locality in reality.
    Through the traits of heterotopia such as Michel Foucault and Henri Lefebvre mentioned and Walter Benjamin’s theory of allegory, this study presents the basis of an argument that the allegoric thought on history must accompany heterotopia, and tries, on this basis, to illuminate the heterotopian traits of Kim Myung-In’s Dongducheon in aspects of the deprived and regained localities. The objects such as ‘orphanage,’ ‘school,’ and ‘pimp’s nest’ in Kim Myung-In’s poetry are the suffered localities of the knotted personal and historical pains. The city ‘Dongducheon’ where the knotted localities have been configured is not only a locality where the local experiences and historical scars in the poet’s childhood had been allegorized but also a ‘heteros’ locality where had been not the everyday locality but the heterotopian locality involving the wish for existential restoration. In this respect, the city has a particular significance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ubjects of the ‘deviant heterotopia and local panic’ and ‘mirrored heterotopia and half-breed allegory.’ With the purpose of stating that the basis of Kim Myung-In’s poetry is the ‘allegoric realism’ to catch simultaneously the historical sufferings and the existential rooted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take part in diversifying the analyses of space-locality of Korean modern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