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급적 관점에서 바라본 현대 가족의 두 양상-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Modern Family from a Class Perspectiv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02
23P 미리보기
계급적 관점에서 바라본 현대 가족의 두 양상-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전남대 어문논총 / 38호 / 71 ~ 93페이지
    · 저자명 : 오연희

    초록

    출세주의와 연관된 한국 사회의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2010년 이후 한국소설에서 일종의 변형 가족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본고에서는 이런 경향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두 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오늘날 그 안에 재현된 가족을 계급적 관점에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김혜진의 소설 『딸에 대하여』는 오늘날의 가족이 엄마 노동자, 혹은 그림자 노동이라고도 불리는 여성들의 돌봄노동을 통해 지탱되고 있음을 보여준 소설이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가족 구성원의 여성들은 사회적 돌봄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정작 자신의 가족 안에서의 돌봄 노동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오늘날 가족해체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작품은 돈을 매개로 한 돌봄과 사랑을 매개로 하는 돌봄이라는 돌봄의 상반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부르주아 가족의 허상을 고발하고,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타자와 타자성까지도 포용하는 사랑의 체제 속에서 찾고 있다고 보았다. 반면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는 근대화 초기 나혜석과 같이 가부장적 질서의 폭력으로 인해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던 여성들이 살아서 가계를 일구었다면, 이라는 판타지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 소설은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는 일종의 시민적 결합으로서의 가족의 모습을 구현해 내고는 있지만, 계급적 관점에서 봤을 때 그런 가족은 어디까지나 일정한 자산과 소유를 전제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족을 지탱하는 것이 돈임을 잠시 잊거나 괄호치자고 제안한다. 이 소설이 판타지스럽게 다가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오늘날 가족은 가장 첨예한 계급투쟁적 함의를 지닌 영역이다. 사회의 축소판으로서의 가족을 향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전망해 보는 것은 21세기 소설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화 경향이 강화될수록 사회와 개인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의 가족은 더더욱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successionism, a kind of transformed family began to appear in many Korean novels after 2010.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class struggle implications of a new family model reproduced in two contemporary two novels that intensively show this tendency. First, Kim Hye-jin’s novel, “About Daughter”, is on that shows that today’s family is supported through the care work of women, also called mother workers or shadow labor. Furthermore, since women in proletarian families often engage in caring work socially, they are bound to neglect caring work in their own family. This is also the cause of the family breakup phenomenon that is occurring today. However, it is to accuse the illusion of the bourgeois family through different ways of caring, caring through money and caring through love, and looking for the true meaning of family in a system of love that embraces the other It may be seen as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Kim Hye-jin novel. On the other hand, from Seerang Jeong’s view, starts from the fantasy that if women who died miserably due to the violence of the patriarchal order like Na Hye-seok in the early modernization period lived and built a household. However, this novel embodies the appearance of a family as a kind of civic union that cooperates and solidifies with each other without oppressing individuals whose feminine values ​​are realized, but such a family can only be made on the premise of certain assets and possessions. A suggestion may be made that money itself may be forgotten in the quest for pecuniary gain which leads one to assess the novel as fantastical. Today, the family is an area with the most acute class struggle implications. It seems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21st century novels to view the family as a miniature version, or microcosm, of society as it will be defined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the stronger the individualization trend, the more important the family will be given as a medium connecting society and individ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