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성격과 과제: 통합의 의미에 관한 두 가지 접근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Korea: Focusing on Two Approaches for Curriculum Integr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5.03
22P 미리보기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성격과 과제: 통합의 의미에 관한 두 가지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6권 / 1호 / 79 ~ 100페이지
    · 저자명 : 곽은혜

    초록

    2022 개정 통합교과는 불확실한 미래 사회를 위한 인재 양성이라는 목적 하에 ‘지금-여기-우리삶’이라는 이념을 중심으로 탈학문적 주제중심 통합,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학습자 참여형 교육과정, 개인의 경험과 공동체의 유기적 관련 지향 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개정의 방향에는 종래의 지식 중심 교육과정과 그에 기반한 통합교과가 가지는 한계, 즉 분절화된 지식 교육이 통합적인 삶과 경험을 이해하고 학습하도록 하는 데에 한계를 가진다는 반성이 내포되어 있다. 지식은 역사상 이루어진 형식적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지식과 삶의 괴리, 그리고 지식의 통합에 관한 문제는 언제나 교육뿐만 아니라 여러 학문의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Wilson이 제기한 통섭의 개념 역시 단편적인 지식의 한계를 지적하고 과학적 탐구를 중심으로 한 지식의 대통합을 주장하고 있지만, 그것은 과학 이외의 학문이 가지는 사고의 형식과 개념 체계의 독특성을 무시하고, 실지로 과학적 탐구만으로 세계를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에 반해, Oakeshott 의 정보와 판단의 개념은 지식의 명시적 측면으로서의 정보를 통하여 지식의 묵시적 측면으로서의 판단을 형성함으로써 세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안목을 기르는 일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습자 마음 안의 통합이라는 통합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러한 Oakeshott의 논의는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통합의 의미를 교육내용 간의 횡적 관련이 아닌 종적 관련으로 해석될 가능성을 열어준다. 지식 통합의 의미를 교육내용 간의 종적 관련으로 해석할 때, 통합의 의미는 일상생활의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학생의 바깥에 놓인, 무기력하게 남아있을 수 있는 지식을 살아 움직이도록 조직하고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지식이 학습자의 이해를 통하여 그 내면으로 통합되도록 하는 일, 그리하여 학생이 통합적 안목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일로 설명된다. 이러한 해석이야말로 교육과정에서 통합교과의 의미를 학습자가 균형잡힌, 통합적 안목으로 자신 앞에 놓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존재로 성장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영어초록

    To cultivate competency for an uncertain future society, the ideology of “Here-Now–Our Lives” characterizes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post-disciplinary, theme-based integration and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at fosters future competencies, and a direction organically connecting individual experiences with the community. This revision reflects critical reassessment of traditional, knowledge-based curricula’s limitations and their integrated education approaches. Specifically, fragmented knowledge education has been found limited for helping learners understand and apply integrated life experiences. Throughout history, knowledge has been regarded as formal education’s most important component, but the disconnect between knowledge and life, as well as issues regarding integration of knowledge, have consistently been subjects of discussion not only in education but also in various academic fields. Additionally,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highlights fragmented knowledge’s limitations and advocates unified knowledge centered on scientific inquiry. However, this perspective also has limitations because it disregards unique forms of thinking and conceptual frameworks inherent in disciplines other than science by implying that the world can be understood only through scientific exploration. In contrast, Oakeshott’s concept “information and judgmen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integration. Imparting judgment―tacit dimension of knowledge―through instructing information―explicit dimension of knowledge―demonstrates how individuals can develop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world. Oakeshott’s discussion open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integration in curriculum theory not as horizontal connections between educational content but as vertical connections, offering a deepened approach to knowledge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