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우회적인 기부행위의 부인 ―대법원 2018.3.15. 선고 2017두63887 판결― (The Denial of Bypassing Donations through Local Governments in Tax Law ―Supreme Court, March 15, 2018, Decision 2017DU63887―)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5.02
38P 미리보기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우회적인 기부행위의 부인 ―대법원 2018.3.15. 선고 2017두63887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세무와 회계연구 / 14권 / 1호 / 239 ~ 276페이지
    · 저자명 : 김완석

    초록

    내국법인이 다른 내국법인에게 기부행위를 하면서 직접 기부의 형식을 취하지 않고 중간에 법정기부금 단체인 지방자치단체를 끼워 넣어 간접 기부 또는 우회 기부의 형식을 선택하여 법인세 부담을 줄인 경우에 그 기부행위가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가 문제된다.
    대법원은 대상판결(대법원 2018.3.15. 선고 2017두63887 판결)에서 이와 같은 기부행위가 건전한 사회통념이나 상관행에 비추어 경제적 합리성을 결여한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법인세법」 제52조에 따른 부당행위계산의 부인대상에 해당하지 않고, 따라서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부당행위계산부인의 요건으로서는 행위 또는 계산의 이상성,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 법인세부담의 부당한 감소를 들 수 있는데, 「법인세법 시행령」 제88조 제1항에서 부당행위계산 부인의 요건을 충족하는 부당행위계산에 관하여 12개의 유형을 열거하고 있다. 그 모두가 특수괸계인과의 이상한 거래를 통하여 그 특수관계인에게 이익을 분여함으로써 자신의 법인세 부담을 줄인 경우이다. 예를 들면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자산을 고가매입하거나 특수관계인에게 자산을 저가 또는 무상으로 양도하는 경우, 특수관계인에게 금전 등을 저율로 대부하거나 특수관계인으로부터 금전 등을 고율로 차입하는 경우 및 자본거래를 통하여 특수관계인에게 이익을 분여함으로써 자신의 법인세 부담을 줄인 경우이다.
    우회적인 기부행위를 통하여 기부금의 종류를 ‘기타기부금’에서 ‘법정기부금’으로 바꾼 것은 우회거래를 통한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우회적인 기부행위를 통하여 기부금의 종류를 ‘기타기부금’에서 ‘법정기부금’으로 바꾼 행위는 ‘특수관계인에 대한 이익분여를 통하여 자신의 법인세 부담을 줄인 경우’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우회거래를 통한 조세회피행위는 「법인세법」 제52조에 따른 부당행위계산부인의 적용대상이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대상판결에서 문제가 된 기부행위는 우회적인 거래를 통하여 기부금의 종류를 ‘기타기부금’에서 ‘법정기부금’으로 바꿈으로써 의도적으로 법인세 부담을 줄인 것이기 때문에 「법인세법」 제52조의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을 적용할 수 없고, 우회행위를 부인하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을 적용하여 해당 기부행위가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함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대상판결에서의 원고의 우회적인 기부행위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의 적용요건인 방법적 요건, 목적요건 및 내용적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전형적인 우회행위에 해당하므로, 위의 규정에 따라 해당 기부금을 ‘기타기부금’으로 재구성하여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When a domestic corporation makes a donation to another domestic corporation and does not take the form of a direct donation, but chooses the form of an indirect donation or a bypassing donation by inserting a local government, a statutory donation organization, in the middle to reduce the corporate tax burden, the issue is whether the donation constitutes tax avoidance.
    In the target judgment, the supreme court sentenced that such donations are not subject to the denial of calculation by wrongful acts under article 52 of the Corporate Tax Act because they cannot be considered to lack economic rationality in light of sound social conventions or common practices, and therefore do not constitute tax avoidance.
    Article 88(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Tax Act lists 12 types of calculation by wrongful acts that meet the requirements for disallowing calculation by wrongful acts, including abnormality of behavior or calculation,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ersons, and unjustified reduction of corporate tax burden. All of them are cases where a company reduces its corporate tax burden by distributing profits to a related party through an unusual transaction with a related party.
    For example, purchasing assets from a related party at a high price or transferring assets to a related party at a low price or for free, lending money to a related party at a low rate or borrowing money from a related party at a high rate, and distributing profits to a related party through capital transactions to reduce the corporate tax burden.
    Changing the type of donation from ‘other donations’ to ‘statutory donations’ through bypassing donation behavior is an act of tax avoidance through roundabout transactions.
    The act of changing the type of donation from ‘other donation’ to ‘statutory donation’ through such a bypassing donation is not a case of ‘reducing one’s corporate tax burden by distributing profits to a related party’. Therefore, the act of tax avoidance through such a roundabout transaction is not subject to the denial of calculation by wrongful acts under article 52 of the Corporate Tax Act.
    In conclusion, since the donation at issue in the target case was an intentional reduction of corporate tax burden by changing the type of donation from ‘other donation’ to ‘statutory donation’ through a roundabout transaction,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he denial of calculation by wrongful acts of article 52 of the Corporate Tax Act, and it is appropriate to apply article 14(3)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hich denies roundabout transactions, to examine whether the donation constitutes an act of tax avoidance.
    Since the plaintiff’s bypassing donation in the target case constitutes a typical roundabout transaction that meets the methodological, purpose, and content requirements of article 14(3)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it is appropriate to reconstruct the donation as “other donations” and tax it according to the above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무와 회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