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갈래의 ‘작별하지 않는다’는 의지-『소년이 온다』와 겹쳐 읽은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Two Vows ‘Not to Part’- Reading Han Kang’s We Do Not Part in comparison with Human Acts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11
28P 미리보기
두 갈래의 ‘작별하지 않는다’는 의지-『소년이 온다』와 겹쳐 읽은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6권 / 4호 / 47 ~ 74페이지
    · 저자명 : 나보령

    초록

    이 글에서는 역사의 문학적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를 『소년이 온다』와 비교하면서, 이 소설이 전작의 형식과 주제의식으로부터 변화한 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형식 면에서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고통스러운 역사를 직접 겪은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체험에 대해 증언할 수 없는 상황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제3자인 대리인-혼의 간접 증언을 통해 전면화한 점, 그리고 증언들의 콜라주 작업에 주목하였다. 그럼으로써 이 소설이 역사의 재현 불가능한 부분들을 은폐하거나, 권위 있는 주체의 목소리를 통해 상상적으로 보완하는 대신, 오히려 적극적으로 가시화한 점을 『소년이 온다』와 마찬가지로 역사를 현재화하는 또 하나의 시도로서 부각하였다.
    다음으로, 주제의식 면에서는 『소년이 온다』부터 지속하는 애도의 문제를 논했다. 이 때 이 소설이 애도를 개인적인, 탈정치화 된 행위로 보지 않고, 공적 애도 금지에 맞서 ‘애도 가능성’을 복권하는 정치적 실천과 연대의 측면에서 형상화 한 점을 버틀러의 애도 개념을 참조해 논했다. 또한 전작에서 강조하였던 과거를 잊지 않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 이들과 작별하지 않으려는 의지에 더해, 궁극적으로는 삶다운 삶, 살만한 삶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 지금 여기의 소중한 사람들과 작별하지 않으려는 의지와 실천을 이 소설로부터 새롭게 읽어냈다.
    나아가 이 두 갈래의 ‘작별하지 않는다’는 의지를 이 소설과 상호텍스트성을 공유하는 『소년이 온다』, 「작별」과 대별되는 한강의 문제의식의 전환이자,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과 마찬가지로 예술을 창작하는 과정에 대해 쓴 메타텍스트인 이 소설을 통해 한강이 전달하고자 했던 문학의 중요한 과제로 의미부여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d Han Kang’s We Do Not Part (Jakbyeolhaji Anneunda) with Human Acts (Sonyeoni Onda) a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history and examined how the form and themes of the author’s former work, Human Acts, are altered in We Do Not Part.
    First, regarding its form, this paper focused on how We Do Not Part brings the indirect testimonies from a spirit and third-person narrator as a proxy to the fore rather than relying on direct testimonies of the victim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This paper also examined how the novel attempts to collage the testimonies. Through the analysis, this paper shed light on the novel’s attempt to bring history to the present by actively visualizing parts of history that cannot be recreated instead of concealing or complementing it by using the voice of an imaginary yet authoritative subject. Such features of this novel can also be linked to literature’s unique mission to represent history.
    Next, in terms of themes, this paper discussed how mourning is an ongoing theme in both Human Acts and We Do Not Part. Using Judith Butler’s concept of mourning, this paper posited that mourning in this novel is not an individual and depoliticized act. Instead, mourning becomes a political act that restores the “grievability” in the face of the state’s ban on public mourning. Adding to the themes which were emphasized in Han Kang’s previous works, such as the will to grieve by remembering the past and the determination not to say goodbye to those who have disappeared into history, We Do Not Part imparts the significance of a life worth living, as well as the effort to restore such a worthy life and the determination not to part with the loved ones that live with us here and now.
    Lastly, this paper pointed out how this novel can be understood as a meta-text of the writing process of a literary work about making two different vows of not parting ways, conveying Han Kang’s notion of literature’s mission and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