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내 생업복합의 변동과 산나물 채취활동의 변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두 마을의 사례- (The changes in household occupation and practice of harvesting wild greens - Focusing on two cases in Jinbu town, Pyeongchang County, Kangwon Provi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가내 생업복합의 변동과 산나물 채취활동의 변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두 마을의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6호 / 141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하얀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의 두 마을, 간평리와 동산리의 산나물 채취활동과 소비관행의 변화를 지역사회의 생업과의 관계 속에서 논의한다. 이를 통해 광역유통체계, 국유림 제도 변동 등 20세기 중반 이후의 거시적인 변화 속에서 가구 단위 생업 복합 내 산나물 채취활동의 위상 변화 양상을 규명한다. 조사지에서 산나물은 1970년대 초중반까지 주로 가내에서 식료로 소비되었고, 채취활동은 여성들의 가사노동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1975년 전후 일련의 사건들─가계소득원인 길쌈과 양잠의 소멸, 영동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광역체계와의 접근성 개선, 국립공원지정으로 인한 관광객 유입─은 마을의 생업구성을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일부 산나물이 본격적으로 상품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 서울 및 수도권 대도시의 소비문화가 변동하면서 1980년대 초반 마을 생업의 중심이 상품작물 재배로 이동했다. 이와 같은 생업 상의 변화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산나물 채취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우선, 채취의 주체인 여성 인력이 가내 생업에서 차지하던 위상이나 중요도가 조정되었다. 또, 산나물에 대한 외부수요와 선호를 기준으로 산나물의 채취 및 소비방식이 재구성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regarding the collection, consumption, and processing of wild greens in the framework of occupational structure of local societies. Further, centering on a broader distribution system and the fluctuation of consumption culture, the study seeks to determine how the change in family occupation structure has reconfigured the usage and gathering practice of wild greens.
    In Ganpyeong-ri and Dongsan-ri, wild greens were limited to domestic use until the early- to mid-1970s. Certain events that took place around 1975, such as the extinction of weaving and sericulture, the improved accessibility to broader channels due to the construction of Yeongdong Expressway, the inflow of tourists due to designations of national parks, not only influenced the transition of occupational structures of townships but also served as an impetus for a full-fledged commodification of certain wild greens. Moreover, following the transition of the consumption culture in Seoul, 1983 became the watershed year for the transition of the economic structure of townships,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female labor in household occupation, which had centered around collecting wild greens, were reshuffled. During this process, the collection of wild greens was restructured in response to external demands for certain products.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eeks to propose that the collection of wild greens is a dynamic flow that forms and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varying demands and needs of individual constituents of a collective situated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