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중의 ‘문화번역’ 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함의 - 『薔花紅蓮傳』, <장화, 홍련>,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 - (Variations in Sociocultural Implications Based on Cultural Translations ‐ Changhwahongnyŏnjŏn, A Tale Of Two Sisters, The Uninvited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9
33P 미리보기
이중의 ‘문화번역’ 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함의 - 『薔花紅蓮傳』, &lt;장화, 홍련&gt;, &lt;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gt;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8호 / 347 ~ 379페이지
    · 저자명 : 안숭범

    초록

    이 연구는 18 세기고전 소설 『장화홍련전』과 이를 모티브로 제작된 <장화, 홍련>, 그리고 <장화, 홍련>을 원작으로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 된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를 분석한다. 원작과 비교해 보면, 두 영화는 시간축⋅공간축에 따른 ‘문화번역’의 결과물로 새로운 사회문화적 함의를 담지한다. 그에 따라 세 작품이 제작된 시대와 지역의 ‘차이’를 의식하면서 가족 윤리를 어떻게 묘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장화홍련전』은 18 세기 후반 조선 시대 양반 가정의 권력 구조와 윤리적 질서를 첨예하게 드러낸다. 가장인 남편에게 예속적인 지위로서 아내의 모습을 보여주는 한편,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젠더 문제를 다각도로 보여준다. 축첩문화가 만연함으로써 배타적 모계 혈통주의가 어떻게 작동했는지, 당대 사법체계가 남성에게 관대하게 작동하는 양상 등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장화, 홍련>은 외관상 당대 사회를 재현하겠다는 의지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작품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율적 주체로서 독립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두드러지고, 가부장제의 붕괴와 남성 권력의 약화 등이 엿보인다. ‘부모-자식’ 사이가 수평적 관계로 변모한 정황이 파악되는 것은 물론, 혈연중심 가족문화의 붕괴와 그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동시에 가시화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는 소략적이나마 현대 미국 사회와 가정의 윤리적 불안을 짐작케 한다. 이를테면 최소한의 기능에 그치는 사회안전망을 읽을 수 있으며 개인적 성취와 욕망에 충일한 이질적인 아버지상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기독교적 가치관과 도덕관이 여전히 구심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영화를 비롯한 문화콘텐츠 사이에서 벌어지는 ‘문화번역’의 양상과 방법론을 탐색하고자 할 때, 일정한 통찰을 줄 수 있길 희망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18th century classic Korean novel ‘Canghwahongreyncen’ and its korean movie adaptation ‘A Tale of Two Sisters’; as well as the Hollywood movie ‘The Uninvited’ which is the remake of ‘A Tale of Two Sisters’ with an cross-cultural perspective. To insure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I will review the content with special attention on the ‘differences’ of family ethics reflected in each text.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ghwahongreyncen’ reveals the social aspects of 18th century’s late Cosen Dynasty from various angles. For example, it will be clearly revealed how contemporary Confucian culture disciplines the life and consciousness of ordinary people, the status of wives as subordinates to their breadwinner husbands, socioculturally constructed gender issues, stringently imposed duty of fidelity applicable only to women etc.
    On the other hand, A Tale of Two Sisters is reproduced as a modern play, reflecting the synchronic social conditions in Korea. First, it shows the position and role of independent women as autonomous entities, the collapse of patriarchy, and weakening of male power. Also, it shows horizontally changing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inally, The Uninvited includes America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an be considered a horror movie’s genre, reflecting the schematic ethical system of American teen horror movies. If we watch this movies in perspective of the reflection theory, we can understand the powerful influence of conservative Christian values in modern American society and how it relates to sexual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