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정기 남한과 일본의 문학으로서의 탈식민화 1945~1948 —『문학』과 『민주조선』의 두 사례 (Munhak and Minshu Chōsen :Decolonization through Literature in US Military Occupied Southern Korea and Japan, 1945-1948)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1.08
35P 미리보기
미군정기 남한과 일본의 문학으로서의 탈식민화 1945~1948 —『문학』과 『민주조선』의 두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57호 / 249 ~ 283페이지
    · 저자명 : 조나단 글레이드

    초록

    미국 육군 24군단은 1945년 9월 8일에 인천에 상륙해 익일인 9일 서울에 들어가 일본제국군의 항복을 공식적으로 받은 것으로 남한에서의 미군정은 시작되었다.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남한은 이렇게 다시 점령되었으며, 미군은 일본의 식민통치기구인 조선총독부를 미육군사령부 군정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국민국가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보면 1945년 8일 15일이란 날짜가 ‘조선’(Korea)을 일본에서 뚜렷이 분리시키는데, 실상 일본의 미군(표면상으로만 연합군)에 의한 점령을 고려하면 일본과 남한을 지배하는 세력이 똑같았으며 연결되는 부분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재일 조선인의 경험을 살펴보면 남한에 거주하는 사람과 비슷한 점이 적지 않았다. 나아가 남한에서의 탈식민화 과정과 마찬가지로 미점령군의 지배하에 놓여 있었던 일본인이 하고자 했던 ‘탈제국화’의 과정 또한 저지되었다.
    미군정이 물질적으로 주둔한 것처럼 담론적으로도 탈식민화에 대한 저지 및 식민지 시대와의 연속성이 드러난다. 본론에서는 조선문학가동맹의 기관지인 『문학』과 재일조선인이 출판한 잡지인 『민주조선』을 분석함으로써 일본제국의 분열 이후 남한과 일본에서의 탈식민/제국화의 과정과 그 과정에 대한 미군정의 방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 두 잡지에 실린 문학작품과 논문에서 드러나는 탈식민/제국화의 과정에 대한 묘사를 분석하고 그 묘사와 미군정기 당시의 검열과 같은 통치 제도와 관계를 탐색하면서, 남한과 일본 사이의 연결성 또는 식민지와 미군정기에 대한 연속성에 대해서 생각하려고 한다.

    영어초록

    On September 8, 1945 the 24th corps of the US Tenth Army landed in Incheon and established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upon arriving in Seoul the following day. Southern Korea, which had been “liberated” from Imperial Japan only a few weeks earlier, once again became an occupied country—this time at the hands of the US Military which headquartered its administration in the same building as the government-general of colonial Korea and made use of many of the colonial institutions put in place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en looked at through the lens of the “nation-state paradigm,” the date of August 15, 1945 marks the complete separation of Korea(Chosŭn) from Japa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temporaneous US Military occupation of Japan (only an occupation by the Allied Powers on the most superficial of levels), however, reveals that both southern Korea and Japan were occupied under the same military organization with many connections remaining between the two. Further, there are numerous parallels between the experiences of Koreans who remained in Japan and those in the sou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imilar to the decolonization process in southern Korea, the “deimperialization” process of Japan was also obstructed.
    The way in which the physical presence of the US Military occupation demonstrates the obstruction of decolonization and continuity with the colonial period is mirrored in the discursive realm. Through analyzing Munhak,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 and Minju Chosŭn, a magazine published by Koreans in Japan, I will examine the processes of decolonization /deimperialization in southern Korean and Japan and how they were affected by the US Military occupation. Specifically, through looking at how literary works and articles published in these two magazines represent the processes of decolonization /deimperialization and how these representations were affected by censorship and systems of control, I will attempt to address the issues of post-imperial connections between Japan and southern Korea and the continuity between colonial Korea and postwar southern Korea occupied by the US Milit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