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태평양의 두 고래이야기: 捕鯨과 鯨神 -한반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Two Stories of Whales in the East Asian Pacific: Whaling and Deific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12
33P 미리보기
동아시아 태평양의 두 고래이야기: 捕鯨과 鯨神 -한반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50호 / 285 ~ 317페이지
    · 저자명 : 송화섭

    초록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태평양의 두 고래이야기가 전개된다. 한반도의 남동해안은 捕鯨文化圈이 설정되고, 서남해안에는 鯨神文化圈이 설정될 수 있다. 포경문화권은 대형 고래를 생업의 대상으로 포획하는 해양생태권이 형성되었고, 경신문화권은 소형 고래를 바다의 수호신으로 숭배하는 해양신앙권이 형성되어 있다. 포경문화권은 북아시아 베링해협, 오호츠크해, 캄차카반도 일대에서 서식하는 대형고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오야시오 한류를 타고 남쪽으로 내려와 한반도 남동해안까지 내려온다. 남동해안 포경문화유적은 울산 반구대 암각화를 예를 들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반구대 암각화는 북아시아 해양수렵민들의 활동 범위에 한반도까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경신문화권은 동아시아 남태평양에서 서식하는 돌고래(dolphin)의 분포권역에 한반도 서남해안이 포함된다. 돌고래분포권은 동아시아 쿠로시오 난류권에서 돌고래의 이동과 좌초(stranding)와 깊은 관계가 있다. 특히 인도차이나반도 베트남 남해안에 고래사당과 고래무덤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남태평양 경신문화권에서 전승하는 돌고래의 해난구제 설화가 흑산도에 등장하고, 사람이 돌고래를 탄 그림이 부안 위도 대리 원당의 신령씨당신도에 표현되었다. 경신문화권은 돌고래가 바다에서 풍랑으로 전복 위기 처한 선박과 표류하는 어부들을 구출한다는 이야기가 핵심이다. 동아시아 경신문화권은 인도차이나반도 남해에서 한반도 서남해안까지 그 범위를 하고 있으며, 돌고래 서식권과 일치한다.
    한반도의 남동해안에 포경문화가 깃들어 있고, 서남해안에는 경신문화가 깃들어 있다. 고래문화권이 한반도 南海에 설정된 것은 한반도가 가진 열린 지중해적 지형이 직접적인 요인이라고 본다. 이러한 두 고래문화가 한반도에 깃들어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 희귀하며, 한반도의 해양문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Peninsula lies at the crossroad of two different whale cultures in the East Asian Pacific.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is aligned with the culture of whaling(捕鯨文化圈), while the southwest is aligned with the culture of deification(鯨神文化圈). The culture of whaling is centered on the maritime ecology of hunting large whales for livelihood, while the culture of deification reveres smaller whales as the guardians of the sea. The whaling culture is formed around the movement route of larger whales in the region, starting from the Bering Sea, the Sea of Okhotsk, and the Kamchatka Peninsula to the Oyashio Current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 example of a historic site that belongs to the whaling culture are the Bangudae Petroglyphs of Ulsan. In this perspective, the existence of the Bangudae Petroglyphs indicates that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included in the maritime hunting groups of North Asia.
    The culture of deification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within the habitat of South Pacific dolphins. The habitat is related to the movement and stranding of the said dolphins along the Kuroshio Current. Many examples of cultural practices, such as whale shrines and whale graveyards, can be foun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Vietnam. The myth of a dolphin saving people from maritime disasters, a common element of the culture of deification in the South Pacific, has also been passed down in Heuksando Island, while a painting of a person riding a dolphin can be found in Wido Island. The culture of deification is centered on the myth of a dolphin saving an entire crew from a shipwreck in a stormy sea. This commonality in the central myth of the culture and the habitat of the dolphins indicates that the culture of deification can be found from the southern coasts of Indochina to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existence of the two cultures of whaling and deification at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surmised to be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Examples of two maritime cultures located in close proximity are rare and help interpret the unique maritime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