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배우는 삶’과 ‘가르치는 삶’의 교육적 의의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Life of Learning’ and ‘Life of Teaching’ in Ildu(一 蠹) Jeong Yeo-Chang(郑汝昌)'s lif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2.12
26P 미리보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배우는 삶’과 ‘가르치는 삶’의 교육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34권 / 4호 / 31 ~ 56페이지
    · 저자명 : 문미희, 안경식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초기 유학자의 삶을 ‘배우는 삶’과 ‘가르치는 삶’으로 구분하고, 그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일두에게 배움의 삶은 ‘수기(修己)’를 체화하는 시간이었다. 그는 율정 이관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그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한 후 지리산에서 독학(篤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배움을 수기(修己)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실천유학을 강조하는 도학(道學)의 기본 이념을 정립했다. 일두의 가르침의 삶은 ‘치인(治人)’을 실천하는 방법이었다. 그는 시강원 설서로 세자를 가르치고, 안음 현감으로 재임하는 중에도 학동들을 가르쳤으며, 학문의 불모지라 불리던 종성으로 유배를 간 상황에서도 학동들을 모아 가르쳐 종성에 문풍이 불게 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문(文)을 통해 백성을 교화하면 덕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그의 생애를 가르치는 데 헌신했다. 일두의 삶은 수기치인의 삶이었으며, 지행합일의 전형을 보여주는 삶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lives of Confucia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nterpreted their educational meaning. ‘Practice based on Learning’ was the most peculiar aspect of Confucians' academic traditio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also manifested in Ildu(一蠹)'s life. To consider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was divided into two parts: ‘life of learning’ and ‘life of teaching’. ‘Life of learning’ was to master ‘self-cultivation(修己)’. Ildu studied in Yuljeong's school and Jeompiljae's school, learned by himself in mountain of Jiri. These experiences led him to understand self-cultivation on learning. Also, he founded ‘moral philosophy(道學).’ ‘Life of teaching’ was the way for ‘rectifying others(治人)’. He was a teacher for the royal family. When he was a local statesman of Anum, he taught students. Moreover, he created and raised an academic atmosphere in Jongseong while he was exiled to. He thought that ‘educating the public’ consummated ‘moral politics(德治)’, and he devoted himself to the nourishment of fostering younger students. After all, Ildu's life was life of ‘self cultivation and rectifying others’ and practicing life. His life indicated a model of ‘unity on knowledge and conduct’ based on human's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