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빨리 불교에서 두 가지 유형의 박띠-인도의 종교적 전통과 관련하여 (Two forms of Bhakti in Pāli Buddhism 
- With Reference to Indian Religious Tradit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빨리 불교에서 두 가지 유형의 박띠-인도의 종교적 전통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5권 / 219 ~ 246페이지
    · 저자명 : 김한상

    초록

    이 논문에서 필자는 빨리 불교의 박띠(bhakti)를 인도의 종교적 전통과 관련하여 접근한다. 비록 박띠가 인도의 유신론적 전통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긴 해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힌두이즘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박띠는 그것이 유신론적 종교이든 무신론적 종교이든, 정통(āstika)이든 비정통(nāstika)이든, 인도의 모든 종교적 전통들에서 발견되는 핵심 개념이자 범인도적 개념이다. 우리가 박띠를 초월적・절대적 존재나 정신적 스승에 대한 자기헌신과 복종의 형태로 공경하는 자세를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한다면, 그것은 빨리 불교에서도 어떤 형태로든 확실하게 발견된다. 인도의 종교적 전통에서 박띠는 ➀ 인간적 관계로서 스승에 대한 신뢰와 애정을 나타내는 구루 박띠(guru-bhakti)와 ➁ 신에 대한 자기헌신과 복종으로서의 박띠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빨리 불교도 예외가 아니다. 비록 그것은 유신론적 종교가 아니지만 말이다. 빨리 불교에 입문하는 통로인 삼귀의는 자기헌신을 그 속성으로 하기 때문에 거기에는 두 가지 형태의 박띠가 나타난다. 불교 신앙의 궁극적 대상인 붓다에 대해서도 동일한 말을 할 수 있다. 빨리 텍스트들에서 붓다는 인간과 초월적 절대자의 두 가지 측면으로 묘사되는 데, 양자는 전체적인 개념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분리하기가 극도로 힘들 정도로 서로 얽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붓다에 대한 예배 형태 속에서도 두 가지 형태의 박띠가 발견된다. 그러므로 불교 전통에서의 박띠가 힌두이즘의 박띠 운동에 대한 자체적 대응이라거나, 붓다의 신격화의 산물이라는 견해는 잘못이다. 박띠는 붓다 당시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빨리 불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되어왔다.

    영어초록

    With this paper, I attempt to approach to bhakti (devotional worship or extravagant devotion) in Pāli Buddhism with reference to Indian religious traditions. Although Bhakti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dian theistic tradition, it is not, as many people imagine, confined to Hinduism. It is a pan-indian concept as well as the central concept in all Indian religious traditions, whether theistic or non-theistic, orthodox (āstika) or heterodox (nāstika). If we define Bhakti in a broad sense to cover an attitude of reverence to a transcendental and absolute being or to a human teacher in forms of self-surrender (prapatti) and servitude (dāsya), then it is certainly found in some form or another in Buddhist tradition. Within Indian religious traditions bhakti is portrayed in two aspects: the divine or the human, according to the object of adoration. Pāli Buddhism is no exception, although it is not a theistic religion. Going for refuge in three jewels, which is the door of entrance to Pāli Buddhism, represents these two in the sense that it is characterized by self-surrender. The same can be said about the Buddha, the ultimate object of worship in Pāli Buddhism. Of the three jewels it is the person of the Buddha which inspires the deepest devotion and has done so from the very start of the Buddhism. In pāli texts the Buddha is portrayed in two aspects: the human and the superhuman or supernormal. These two aspects intermingle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separate one from the other without doing injustice to the concept as a whole. In this sense two aspects of bhakti are identified in forms of the devotee’s worship of the Buddha. The notions that bhakti in Buddhist tradition was its answer to bhakti movement in Hinduism, or that it is the product of deification of the Buddha are misleading. Bhakti had its beginnings in the earliest days of Buddhism and it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Pāli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