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蘇斗山의 『月洲集』에 나타난 17세기 후반의 東萊府 (Dongnae-bu in the late 17th century in Wolju-jip Written by So Du-Sa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3.02
42P 미리보기
蘇斗山의 『月洲集』에 나타난 17세기 후반의 東萊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4권 / 65 ~ 106페이지
    · 저자명 : 양흥숙

    초록

    月洲 蘇斗山(1627~1693)은 조선 현종과 숙종대의 관료이자 학자이다. 같은 시기 禮訟 논쟁과 잦은 換局으로 소두산의 관료 생활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의 문집인 『월주집』에 수록된 行狀과 年譜를 통해 인맥과 경력, 일생의 부침을 확인할 수 있다. 소두산은 송시열과 송준길의 제자라는 점, 문과 장원급제를 했다는 점, 사간원과 사헌부 관직을 거쳤다는 점, 여러 지역의 지방관을 역임한 점, 문관이지만 公洪道 水使, 평안도 兵使까지 역임함으로써 문무관직을 두루 경험했다는 점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두산과 그의 문집인 『월주집』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 글은 『월주집』에 나타난 17세기 후반의 동래부의 모습과 소두산이 동래부사로 재임하면서 교류한 사람들에 대해 주목하였다. 동래부사로 재임하면서 쓴 시가 83수에 이르는데, 이 시를 통해 17세기 후반의 동래부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의 시에는 동래부 지역에 각인된 임진왜란의 기억, 지방관의 시선으로 본 동래부의 생활, 동래부 名所 등 동래부의 인문환경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지방관의 업무와 관련된 동래부사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특히 <蓬萊府四十韻>이란 長詩에는 부임한 후 1년 동안 동래부에 거주하면서 본 풍경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총 망라되어 있다.
    소두산은 조선후기 對日關係가 정비되는 시기에 동래부사로 부임하는 인물이다. 1678년 倭館이 이전하였고 이에 수반되는 여러 約條가 체결되었다. 그러므로 소두산의 시와 글에는 17세기 후반 조일관계를 기반으로 한 두 나라 사람들의 움직임도 찾아볼 수 있다. 일본 사절을 응접하기 위해 동래부로 파견된 조선 관료, 동래부에 체류하는 조선 상인, 무역에 주력하는 동래부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일본인에 대한 시선, 일본인과의 교류 등에 관한 내용도 『월주집』을 통해 아울러 살필 수 있다.

    영어초록

    Wolju So Du-San(1627-1693) is a bureaucrat and scholar in the reigns of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His personal connections, careers, and ups and downs of a lifetime can be observed through his behaviors and the chronological list included in Wolju-jip,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So Du-San has been known by the following facts:He was a disciple of Song Si-Yeol and Song Jun-Gil. He passed first in the civil service literary examinations. He went through government posts of Sagan-won and Saheon-bu. He successfully served as a local governor of various regions. He had experiences as a military officer as well as a civil servant, serving as a local navy commander of Gonghong-do and military commander of Pyeongan-do.
    Nevertheless, there are rather insufficient studies of So Du-San and Wolju-jip.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what the Dongnae-bu was like in the late-17th century and the people with whom he made an exchange during his term of office as the Dongnae Magistrate. He wrote 83 poems during his term of office as Dongnae Magistrate, through which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s of Dongnae-bu in the late 17th century. It is possible to see the cultural environment of Dongnae-bu of the time, his life in Dongnae-bu viewed as a local governor, and the attractions of Dongnae-bu through the poems. It is also possible to look into the images of a local governor concerning the job of Dongnae Magistrate. In particular, the long poem titled “Forty Rhymes at Bongnae-bu” covers all his awareness of the landscap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viewed while he was residing in Dongnae-bu.
    Especially, So Du-San is a figure who was appointed as Dongnae Magistrate at the time when Joseon’s relationship with Japan was renovated during the late-Joseon Dynasty period. In 1678, the Japan town was moved in, and several agreements were concluded accordingly. Thus, So Du-San’s poems and writings show the activities of people of the two count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late-17th century. The writings show the Joseon bureaucrats dispatched to Dongnae-bu to receive a Japanese envoy, the Joseon merchants sojourning in Dongnae-bu, and the people in Dongnae-bu, who gave their best for trade. They also include details about the perspective toward and exchange with the Japanes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