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은 정몽주와 율곡 이이: 두 성리학자의 은유적 공통점을 중심으로 (Metaphorical Sameness between Poeun Jeong Mong-ju and Yulgok Lee Yi)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4
38P 미리보기
포은 정몽주와 율곡 이이: 두 성리학자의 은유적 공통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25권 / 5 ~ 42페이지
    · 저자명 : 리기용

    초록

    이 논문은 “포은 정몽주와 기호유학”이라는 대주제 하에 기획된 한 장에 해당하는 글이다. 논자는 포은 정몽주와 율곡 이이의 사상적 연관성을 은유적 비유를 통하여 대비시켜 논구하였다. 신유학이 중국 송나라로부터 도입되는 시기였던 고려말의 포은 정몽주와 조선의 건국이념으로 정립된 조선성리학의 정립시기의 대표적 유학자 율곡 이이는 이백여년의 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성리학자 즉 선비로서의 궁극적 관심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논문에서는 은유적 대비를 통하여 두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하나는 은유적으로 살펴 본 포은과 율곡의 삶과 사상 비교를 통하여 양자는 사상적 기반과 학문적 지향 등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것, 다른 하나는 시대적 거리를 뛰어넘는 공통점을 전제로 율곡의 포은에 대한 평가에 나타난 해석과 도통론적 계보 속의 포은의 자리매김을 확인해 볼 것이다. 전자는 다시 세 문제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째, 포은과 율곡이 지향하는 인물, 즉 태평성대의 성군인 요순과 최고의 재상인 주공周公을 지향하는 포은과 율곡의 부모들이 자식에 대한 희망을 대비시켜 볼 것이다. 둘째,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로서의 포은과 율곡의 천재성[知]과 학습한 유학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준 효심[行]의 합일됨을 찾아볼 것이다. 셋째, 성리학의 이상적 모델인 군자의 상징인 대나무를 통해 시간을 뛰어넘어 만나게 되는 포은과 율곡의 성리학적 공통점을 확인해 볼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율곡의 포은에 대한 평가에 관한 단편적 언급과 평가의 문제이다. 특히 포은에 대한 율곡의 매몰찬 평가는 오해를 빚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율곡의 인물평은 냉철하고 예리하기로 유명하다. 특히 세간에 알려져 있는 포은에 대한 율곡의 평가는 문인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질문 앞뒤의 문맥은 잘린 채 언급된 부정적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포은에 대한 율곡의 공식적인 입장은 동호문답에 언급된 4년후인 선조6년 조선왕조실록의 경연에 인용된 언급이라고 보아야 하며, 이것이 객관적 평가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홀시되어 왔다. 여기에는 동방 리학 즉 조선성리학의 창학(倡學)이라는 포은의 역할에 대한 객관적인 긍정적 평가와 함께, 포은이 새로운 사조를 수용하였을 뿐 성리학을 충분히 소화시키지 못했다는 시대적 한계도 적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이 고찰을 통하여 첫째 시대를 뛰어 넘은 포은과 율곡, 두 성리학자의 은유적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둘째 포은에 대한 율곡의 언급들에 관한 객관적 평가와 동방 리학의 도통적 계보 속에서 포은의 자리매김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designed under the grand theme of “Poeun and Kiho Neo-Confucian School”. The author discus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ideas of Poeun Jeong Mong-ju(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 and Yulgok Lee Yi(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by contrasting them metaphorically. Despite the two centuries difference – Poeun is a scholar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when neo-confucianism was first introduced from Chinese Song(宋) Dynasty, and Yulgok is one of the major scholars who established Joseon Neo-confucianism, the founding principle of Joseon – they share one aspect in common, that they share Ultimate Concern as neo-confucian scholar, ‘seonbi’. This paper draws two claims using metaphoric contrast. One, Poeun and Yulgok share Neo-confucianism in common. Two, this paper finds the difference in periodic perspectives by looking at Yulgok’s assessment of Poeun. The former claim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First, this research compares their parents’ goals of growing their children to follow Duke of Zhou(周公), the best Chancellor of Kings Yao(堯) and Shun(舜).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nion of ingenuity(knowing, 知) as scholar and filial piety(doing, 行) they learned and carried out. Thirdly, this paper finds similarity of the two scholars through bamboo(竹), the symbol of ideal Junzi(君子) in neo-confucianism. The latter studies the misunderstanding in Yulgok’s assessment of Poeun. It is well known that Yulgok’s remarks are dispassionate and keen. Especially, the wide-spread Yulgok’s assessment of Poeun is focused on the negative part of the remark without looking at the context. Yulgok’s official stance about Poeun is referenced in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it has been neglected despite being his objective assessment. In the book, Yulgok clearly states Poeun’s role as founder of Joseon neo-confucianism as well as the limitation of the era that Poeun could not fully assimilate neo-confucianism. This paper claims to be the founding stone to restore Yulgok’s view on the history of Joseon neo-confucianism which started from Poe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