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 1950년대의 두 가지 ‘자유’ 개념과 문화 (Existentialism, Pragmatism, and Madame Freedom ― Two Sources of ‘Liberty’ Concept and the Cultural Practices in 1950's Korea)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8.12
47P 미리보기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 1950년대의 두 가지 ‘자유’ 개념과 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35호 / 101 ~ 147페이지
    · 저자명 : 권보드래

    초록

    해방기에 새로 등장해 1950년대까지 한국 사회를 휩쓸었던 ‘자유’는, 그 합법적(legitimate) 원천을 따지자면 프랑스 실존주의와 미국 사회과학이라는 두 가지 지적 조류에서 유래되었다. 실존주의를 통해 ‘자유’와 함께 ‘실존’이, 미국 사회과학을 통해 ‘자유’와 함께 ‘민주주의’가 들어오고 정련되는 과정에서, 그러나 두 가지 ‘자유’ 개념은 판연히 이질적인 것이었다. 존재의 부조리와 공포를 자각하는 데서 출발한 실존주의의 ‘자유’는 개인성의 수준에서 한국 전쟁의 충격을 명명하는 데 기여했고, 전체주의와의 대결 의식을 내재한 미국 사회과학의 ‘자유’는 사회체의 수준에서 자본주의와 보통 선거와 정당 정치 등 새로운 정치·경제적 조건을 수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전자는 작가를 중심으로 문학과 철학·예술 분야에 깊은 영향력을 끼쳤고 후자는 대학 중심의 아카데미에 압도적 위세를 떨쳤다. 문제적인 사회 현상을 스펙트럼화하는 다소 무리한 작업을 시도해 볼 수 있다면, 1950년대에 화제가 되고 과제로 떠올랐던 많은 현상 중 상당수는 이 두 가지 ‘자유’ 개념 사이에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 전쟁 이후 문제된 ‘아프레 걸’이라는 여성군은 실존주의의 통속적 판본으로서 그 절망을 모방한 존재이자 미국 대중문화로 치장한 물질주의적 존재였으며, ‘자유 부인’이라는 명칭은 ‘아프레 걸’에 이웃하면서도 미국 대중문화를 더 일방적으로 편식하는 데 대해 붙여진 조롱의 레테르였다. 실존주의와 미국 사회과학의 ‘자유’가 남성­지식인 사이의 언어요 현상이었다면, 보다 대중적인 문화 실천은 그 언어를 절단·채취하면서도 심각한 혼란과 좌충우돌과 자의적 해석을 드러내 보였다. 한국 전쟁의 충격이 소화되고 1950년대 당대 현실이 점점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면서 ‘자유’의 이러한 상황 또한 변화하기 시작한다. 1950년대 전반에는 전쟁의 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새로운 이념을 주조하기 위해 먼저 ‘부정’의 자세가 필요했다면, 따라서 ‘부정’을 통해 형성된 모호성의 지대를 두고 실존주의와 미국 사회과학에 의한 ‘자유’가 각축하고 그 사이의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이 전개될 수 있었다면, 정치·경제적 불만이 팽배했던 1950년대 후반에 ‘자유’는 적극적 이념을 향해 수렴되어 갔던 것이다. 한국 전쟁 이후 4·19에 이르는 1950년대 한국 사회의 변화란, 다기했던 ‘자유’의 이해와 실천이 단일화되어 간 과정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을 터인데, 4·19로 상징되는 종합은 그러나 이후까지 계속되는 분열의 계기 또한 간직하고 있다.

    영어초록

    ‘Liberty’ or ‘freedom’ was a new token in the 1950's. It stemmed from two legitimate sources of French existentialism and American pragmatism, which formed the bifurcated configuration of the concept of ‘freedom’. Existentialism dominated the spheres of philosophy, art, literature, while pragmatism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academic practices, especially social sciences. The former helped people to endure the trauma of Korean war, and the latter suggested them to rebuild the society over the ruins of the war. The existentialism's ‘liberty’ was negative one which focuses to take a step backward from the violent world, while the pragmatism's ‘liberty’ was more or less positive one which projects the new vision of society. A variety of cultural phenomena was formulated in the tension of these two liberties. The notorious but attractive ‘après-girl’ was circulated as popular version of existentialism, and the famous Madame Freedom was coined by the authoritative voice of American style liberal democracy. The various practices of ‘freedom’ in the field of popular culture inaugurated against the backdrop of such an interaction, and influence of American mass culture played a leading role in such a process. The political event which ends 1950's, 4·19 became possible when these diverse ‘liberty' or ‘freedom’ converge on the demand for political freedom and democrac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