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번의 연행, 일곱 편의 조사 자료 - 1936년 봉산탈춤 연행 조사 자료 연구 - (Twice Performances, Seven Research Materials -A Study on Research Materials on the 1936 Bongsan Mask Dance - Drama Performan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6.11
43P 미리보기
두 번의 연행, 일곱 편의 조사 자료 - 1936년 봉산탈춤 연행 조사 자료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64권 / 45 ~ 87페이지
    · 저자명 : 허용호

    초록

    본 연구는 1936년 8월 31일 사리원 경암산 아래 광장에서 벌어진 봉산탈춤에 대한 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이때의 봉산탈춤 연행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관심만큼 여러 조사 자료들이 산출되었다. 필자는 바로 이 조사 자료들에 주목한다. 1936년 봉산탈춤 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에 대한 섬세한 검토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관련 조사 자료들의 특징과 관계가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 필자는 기대하고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36년 사리원에서의 봉산탈춤 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은 총 여덟 편이다. 이 조사 자료들은 크게 참여 관찰기와 채록 자료로 대별할 수 있다. 참여 관찰기로는 무라야마 지쥰의 참여 관찰기와 스텐 베리만의 참여 관찰기가 있다. 이 두 참여 관찰기 사이에 영향 관계는 전혀 없다. 채록 자료로는 오청 채록본,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임석재 채록본 등이 있다. 그런데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등은 오청 채록본을 바탕으로 번역․필사․전재 등을 한 2차 가공 자료들인 것이다. 따라서 채록 자료들은 크게 오청 채록본 계열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채록 자료는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대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또 다른 연구 과제들을 제기한다.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의 섬세한 비교 연구’, ‘참여 관찰기의 비교 연구’, ‘봉산 구읍 연희자들 주도의 봉산탈춤 존재 연구’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들은 본 연구의 과정에서 산출된 것이며, 동시에 문화 정치학적 논의와 깊게 연관되는 것이다. 이렇게 1936년 봉산탈춤 연행에 대한 조사 자료의 특징과 관계 정리라는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 달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연구 과제들이 생성되었다. 어쩌면 본 연구의 본래 목적이 여기에 있었다고 할 수도 있다. 연속되거나 새롭게 떠오르는 과제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본 연구가 자리 잡은 것이다.

    영어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That performance drew a lot of interest. As a result of this interest, a number of research materials were produced. I pay attention to those research materials, which were reviewed delicat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those research materials. To sum 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a total eight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t Sariwon. Those materi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nd oral records. In the categor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y, there are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of Jijyun Murayama and that of Stern Bergman. No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were found. As for the oral record materials, there are Cheong Oh’s oral records,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Sang-su Choe’s oral records and Seok-jae Im’s oral records. It should be noted that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and Sang-su Choe’s oral records are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which were transcribed, translated, and reprinted based on Cheong Oh’s oral records. Therefore, the oral record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the oral records of Seok-jae Im. In fact, the oral records are mainly divided into those of Cheong Oh and Seok-jae Im.
    These study results have led to the initiation of other studies. Those are “A comparative study of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Seok-jae Im,” “A comparative stud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 study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is led by performers in the old town of Bongsan.” The studies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nd they are connected with cultural politics discussion. Based on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various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reated. Maybe,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study may be said here. This study was established in a prior study to study the emerging study assignments in earnes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