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 『마의태자』 연구-복수와 체념의 두 역사와 민족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Maeuitaeja” Written by Lee Gwangsu-With a Focus on Divergent Paths of Revenge and Resignation in History and National Consciousnes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12
27P 미리보기
이광수 『마의태자』 연구-복수와 체념의 두 역사와 민족의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19호 / 39 ~ 65페이지
    · 저자명 : 서세림

    초록

    본고에서는 춘원 이광수의 장편 역사소설 『마의태자』에 나타난 복수와 체념의 서사 및 그와 관련한 민족의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926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마의태자』는 신라 말기 궁예, 마의태자, 견훤, 경순왕 등 역사적 인물들의 삶을 바탕으로 민족과 영웅에 대한 작가의 관념을 보여준다. 이는 「가실」에서부터 이후 『이차돈의 사』, 『원효대사』로 이어지는 신라 역사에 대한 작가적 관심이 장편소설의 형태로 형상화된 것이다.
    『마의태자』는 김동인에 의해 소설의 구성과 주제의식이 혹평을 받은 이후, 작품의 의미에 비해 제대로 연구, 논의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또한 루카치의 역사소설론에 의거해 미달의 형식으로 인식되었던 것도 이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 관계의 정합성만이 작품의 성취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며, 구성의 단순성이 작품의 연구 필요성을 없애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은 인물들의 삶을 중심으로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인물의 성격과 고민을 통해 주제의식을 나타낸다. 작가는 단순한 구성 속에서 영웅적 인물들의 개인사와 운명적 관련성을 통해 정치적 의식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이는 1920년대부터 이광수가 역사소설의 양식과 소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계기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또한 협력과 저항의 이분법적 인식을 넘어 작가의 이상주의와 현실적 고뇌 사이의 진폭을 파악해볼 수 있다.
    작중 궁예는 비범한 인물로 태어나 영웅적 면모로 나라를 세우는 데에 이르지만 결국 원한과 복수에 집착한 선택의 과정을 통해 타락의 길로 접어든다. 반면 마의태자 김충은 영웅이 되지는 못하지만 타락한 사회에서 홀로 분개하며 체념하는 의인의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두 인물의 대조적 모습은 망국의 역사 속에서 두 가지 서로 다른 운명의 길을 보여주고 있는 바, 작가의 민족의식은 신라를 둘러싼 두 인물의 흥망성쇠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그 고뇌의 방향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rratives of revenge and resigna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as portrayed in a history novel “Maeuitaeja” written by Lee Gwangsu. The novel first appeared as a series in a daily newspaper, Donga Ilbo, and told stories of a nation and its heroes in the late period of Shilla Dynasty, starring historical figures including Gungye, Maeuitaeja, Gyeonhwon, and King Gyeongsun. The novel embodied the author’s interest in the history of Shilla Dynasty, which was also expressed in his other works including ‘Gasil’, “Death of Lee Chadon”, and “Priest Wonhyo”.
    However, the novel was severely criticized by Kim Dongin both for its plot and theme, and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Another reason for the lack of interest in the novel was that it was deemed as incomplete based on Georg Lukacs’s theory on history novel. However, integrity of historical facts is not the sole standard that decides quality of history novel. The simplicity of a plot-the novel is divided into two parts: a chapter on Gungye and a chapter on Maeuitaeja-does not eliminate the need to academically examine the novel. “Maeuitaeja” mixed historical facts with fiction, revolving around lives of the characters. The author expressed the theme through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concerns, and notwithstanding the simple plot, subtly communicated his political consciousness by intertwining it with personal lives of the heroic characters in the novel. Instead of a black-and-white view on ‘cooperation’ and ‘resistance’, readers can perceive the author’s thoughts swinging between idealism and agony faced in the reality.
    Gungye was an extraordinary figure from the birth, had heroic aspects, and went so far as founding a new nation. However, his fate was doomed as he grew obsessed with personal grudges and revenge. In comparison, Kim Chung or Maeuitaeja was not heroic, but became a righteous figure who got enraged and then resigned from a fallen society. As a nation is ruined, these two contrasting figures faced divergent paths of fate. The author’s national consciousness is implicitly shown in the rise and fall of the two figure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Shilla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