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성잡시(鬐城雜詩)」에 나타난 다산의두 가지 시선(視線) (Two gazes of Dasan in 「Giseongjapsi (鬐城雜詩)」)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4
30P 미리보기
「기성잡시(鬐城雜詩)」에 나타난 다산의두 가지 시선(視線)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4호 / 141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은미

    초록

    다산의 장기(長鬐) 유배 초기의 시 「기성잡시(鬐城雜詩)」는 그간 장기의 풍경과 장기 사람들의 생활을 묘사한 시로만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기성잡시」 이면에는 다산의 두 가지 시선이 나타난다. 그것은 자기 문제에 몰두하는 자기 응시의 시선과, 자신이 대면하게 된 새로운 세계에 대한 관찰자적 시선이다.
    다산은 유배지 장기에서 무료한 삶을 보내고 있는 병약한 자신을 바라본다. 이런 유배의 상황이 책을 깊이 알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여전히 책에서 관심을 놓지 못 하는 자신의 모습을 시에 그려내기도 한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장기 여인의 말씨와 머리꾸밈새, 장기 지방의 살풍경(殺風景), 장기의 생활상과 특산물 등, 자신의 새로운 환경에도 시선을 보낸다.
    이런 향내(向內)와 향외(向外)의 두 가지 시선은, 유배객의 울울함과 향수 속에서도 자중하는 다산의 정서를 드러내는 한편, 교화의 대상으로 파악하던 민(民)에 대해 관념적 인식을 벗고 새로이 다가서는 다산의 모습을 그의 실증 지향적 사고와 함께 보여준다.
    다산 시문학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서는 인생의 변곡점이었던 유배기 문학에 나타난 다산의 정서도 규명해야 하며, 유배기 문학으로 통칭되는 것 가운데 장기 유배기의 문학에도 따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장기 유배기 시를 대상으로 초기부터 순차적으로 다산의 정서를 재구해 보는 그 첫걸음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Giseongjapsi (鬐城雜詩)」 is the poems in the early days of Dasan’s Janggi(長鬐) exile period, and has been understood only as a poetry describing the landscape of Janggi and the lives of the Janggi people. But behind 「Giseongjapsi」, two gazes of Dasan appear. The one is the gaze of his own stare that is immersed in his own issues and the other is the observer's gaze to the new world he is facing.
    Dasan sees himself who is sickly living a tedium life in the place of exile, Janggi. As he thought that this situation of exile is because he knew books deeply, still he portrays the appearance of himself as a poem that cannot let his interest away from books. Meanwhile, on the one hand, he also sends a gaze at his new environment, including the dialect and headdresses of Janggi women, the bleak landscape (殺風景) of Janggi region, and the lifestyle and specialties of Janggi region.
    These two gazes in (向內) and out (向外) of the village reveal Dasan's emotion, while revealing nostalgia and gloom of deportee, whereas they reveal Dasan's empirical‐oriented thinking that removes the ideological perception of the people, who have been identified as the object of edification.
    To clarify the overall appearance of Dasan’s poetry, Dasan's emotion appearing in the exile period literature, which is the inflection point of life, should also be identified, and among the exile period literature collectively calle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literature of the Janggi exile period. In this sense,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o reconstruct Dasan's emotion appearing in his poems in the Janggi exile period sequentially from the begi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