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에 대하여 I - ‘Tattva’의 두 의미 - (The Concept of ‘Truth’ in Classical Indian Philosophy I: ‘Tattv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11
35P 미리보기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에 대하여 I - ‘Tattva’의 두 의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43권 / 195 ~ 229페이지
    · 저자명 : 강성용

    초록

    인도철학 전통에서 사용되는 ‘진리’ 개념은 구체적인 지성사적 맥락이 거세되어 그 의미가 파악되지 못한 채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인도철학사에서 ‘진리’의 개념으로 다루어질 만한 여러 개념들의 맥락과 의미를 분석하고, 철학사 안에서 다루어질 만한 개념들을 구분해 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도철학사에서의 가장 보편적인 ‘진리’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tattva’ 개념이 갖는 사상사적 무게를 밝히고, 이 개념의 분석을 시작할 것이다. 이 작업은 형태론적인 분석과 화용론적이고 개념사적 분석을 아우를 것인데, 결국 ‘tattva’의 두 가지 용례를구분하고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부사적 용례’에서는 이 용어가 어떻게 ‘그러함’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인식론적인 측면에서 대응설의 입장에 상응하는 함축을 갖게되는지를 밝힐 것이고 이를 토대로 이 용어가 전통 중립적인 보편성을 갖게 되는맥락을 설명할 것이다. ‘지시사적 용례’에서는 ‘그것임’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이 용어가 왜 그리고 어떻게 다양한 외부세계의 대상들을 넘어서는 통일적인 실체로서의단일성을 가진 대상을 가리키는 함축을 갖게 되었는지를 밝히게 될 것이다. 우빠니샫(Upaniṣad) 전통에서 나타나는 대우주와 소우주의 구조 동일성에 대한 주장이 어떻게 이 용어에 투영되어 나중에 불교전통은 물론이고 바이쉐시까(Vaiśeṣka)의 존재론 논의에서도 그 그림자를 드러내는지 밝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주로『냐야쑤뜨라』(Nyāyasūtra)와 『냐야바샤』(Nyāyabhāṣya)의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것인데, 이 두 가지 의미가 동시에 초기 냐야전통 안에 자리잡고 있음을 보이면서 이 두 서로 다른 함의가 어떻게 구체적인 철학적 쟁점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지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해 아예 다른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할 다른 ‘진리’ 개념들에 대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usage of the term “truth” in Indian history of ideas frequently throws the general reader into confusion. An attempt is made, at first, to sort out major concepts in Sanskrit corresponding to “truth” in English. They are analyzed and contextualized to select some of them out deserving serious academic discussions in the context of research in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One of them, “tattva” is analyzed in its morphological (yaugika) and pragmatic (rūḍha) aspects based mainly on the texts belonging to early Nyāya tradition.
    The major argument is that we can differentiate two usage of the term “tattva” in the sense of “truth”, one in adverbial usage in the sense of “such-ness”, and the other in pronominal usage in the sense of “that-ness”. Considering and modifying preceding researches, the opinion is stated that these two usages of the term “tattva” have their own cultural context and are ready integrated parallel into the text, the Nyāyasūtra and explained in the Nyāyabhāṣya accordingly.
    The adverbial usage alludes to an epistemological stance of correspondence theory and seems to have built up the semantic basis for the widespread adoption of this term for “truth” in the diverse philosophical traditions on the basis of its rather neutral connotation. In case of pronominal usage of the term “tattva”, the referential connotation is in the kernel of the complex of the meanings and some sort of ontological commitment is alluded to. This usage stands out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debates on ontological status of outer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 229 objective world between Nyāya and Buddhist traditions. The reason why the term has got such a strong connotation of ontological commitment is guessed to be found in the Upaniṣadic traditions in which the universal principle, brahman (n.) was referred to by the word “tat”. This procedure could be also traced in the Buddhist records attributed to Nāgārjuna in distinct way, as demonstrated by Ch. Lindter, though some parts of his evaluation, at the end, is hard to be agreed by the author.
    Dividing and clarifying different layers of meaning attributed to “tattva” could be of some use for further research in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and will allow to step next to analyze some other concepts meaning “truth” in Indian traditions, for example “satya” in the sense that it should be placed in fully different context, distant from the correspondence theory in epistemology, of Indian history of id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