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斗陵 일대에 대한 공간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The Changes and Meanings of Spatial Recognition towards Dureung and its Vicin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12
25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斗陵 일대에 대한 공간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53권 / 53호 / 229 ~ 253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斗陵 일대에 대한 공간 인식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두릉 일대는 풍광이 수려하고 도성에서의 접근이 용이하여 17세기 先塋과 別墅 조성지로 주목받았고, 정치적으로 실의한 문인들이 은거 지향을 표방하며 임시 거처를 마련했던 지역이었다. 申翊聖의 東淮 별서, 金堉의 瀟川 별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18세기를 거쳐 19세기에 이르러 丁若鏞・徐有榘와 같은 실학파 문인들이 두릉에 자리 잡았다. 이들은 두릉의 實景을 시에 담고 일상생활 공간으로서 두릉을 詩化했다. 또한 두릉에서 직접 林圃를 경영하며 생활의 터전으로서 이곳을 가꾸어 나갔다. 이전 시기 이곳이 이상화된 임시적인 거처였다면, 이때에 와서는 실제적인 삶의 공간이 된 것이다.
    19세기 중・후반기에는 이들의 후배 문인인 洪錫謨・申弼永 등이 두릉을 찾아 유람시를 남겼는데, 이들은 신익성・정약용・서유구가 남긴 자취를 찾아 이들을 떠올렸고, 두릉을 文星이 모인 공간으로 기억했다. 이 지역을 대표하는 몇몇 인물이 사람들의 의식 속에 각인되면서 두릉은 유람의 공간으로서도 가치를 얻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tends to identify diachronic changes of spatial recognition towards Dureung(斗陵) and its vicin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Dureung(斗陵) and its neighboring areas gained attention of the public as a great site for family burial ground(先塋) and farming villa(別墅) due to its convenient access to the capital city. It was a place reflecting the desires of scholar-officials to live in seclusion. There were examples such as Shin, Ikseong(申翊聖)’s Donghoi(東淮) farming villa, Kim, Yuk(金堉)’s Sochun(瀟川) farming villa, etc.
    In the 19th century after going through the 18th century, scholars of Positive School settled in these areas such as Jeong, Yakyong(丁若鏞)・Seo, Yugu(徐有榘). They expressed the scenary of Dureung(斗陵) in their poems and also poetized Dureung(斗陵) as a place for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Also, they ran forest farms(林圃) in Dureung(斗陵) to realize their awareness of Gyeong-se-je-min(經世濟民), which indicates “maintaining order in the world and the people will be relieved”. In the previous eras, Dureung(斗陵) was an idealized and temporary residence but during this time period, it has become actual living spa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their junior scholars such as Hong, Seokmo(洪錫謨)・Shin, Pilyoung(申弼永) came to Dureung(斗陵) and left several poems of sightseeing. They searched for traces of Shin, Ikseong(申翊聖)・Jeong, Yakyong(丁若鏞)・Seo, Yugu(徐有榘) to think of them and remembered Dureung(斗陵) as space of great literary circles. As several people representing these areas were seared into people’s consciousness, Dureung(斗陵) gained its value as a place for sightse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후